미국 사이버사령부가 이슬람국가(IS)의 인터넷 사용을 차단하기 위한 사이버공격을 검토하고 있다고 로스앤젤레스타임스(LAT)가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그러나 미 연방수사국(FBI) 등 정보 당국은 IS 근거지인 이라크와 시리아 일대에서 인터넷이 전면 차단되면 부작용이 적지 않다며 이를 만류하고 있어 국방부가 딜레마에 빠져 있다고 LAT는 전했다.
미 사이버사령부는 IS가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테러를 사주하거나 IS 지원자를 모집하는 걸 차단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했다고 LAT가 미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애슈턴 카터 미 국방장관은 이번 주 중 사이버사령관을 만나 컴퓨터바이러스 살포 등 다양한 사이버공격 수단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샌버나디노 테러범 부부가 소셜미디어를 통해 IS 지도자에게 충성을 맹세한 사실이 드러나자 사이버사령부에 대책 강구를 지시했었다.
그러나 IS의 인터넷 사용을 전면 차단하면 외부에서 IS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는 수단도 사라지고 지도부 위치를 추적하는 게 어려워진다는 등의 이유로 FBI 등이 우려를 표시하고 있다.
또 미국은 오랫동안 중국과 쿠바, 북한에 대해 인터넷과 소셜미디어에 대한 일반인의 접근을 차단하고 있는 것은 옳지 않다고 비난한 터라 IS의 인터넷 사용을 전면 차단할 경우 비난여론을 살 수도 있다.
이에 백악관은 IS 지도부나 테러리스트의 계정만 겨냥해서 공격하는 방안을 선호하고 있다. 하지만 IS 같은 테러집단이 트위터를 통해 보내는 메시지만 하루 9만건에 달할 만큼 방대한 규모여서 의심되는 모든 계정을 추적하기가 불가능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지난 17일 펜실베이니아에서 검거된 IS 추종 10대 소년의 경우가 대표적인 사례다. 트위터를 통해 IS 지도자에게 충성을 맹세한 잘릴 아지즈(19)는 “백악관에서 오바마의 목을 베겠다”는 글을 트위터에 올렸다. 트위터 관리자가 이 계정을 폐쇄하자 57개의 차명계정을 잇따라 개설하는 수법으로 기존의 팔로어들에게 극단적 행동을 부추긴 혐의를 받고 있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
미국의 IS 사이버 공격 딜레마… 인터넷 사용 전면차단하면 외부서 감시할 방법도 없어
입력 2015-12-21 2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