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공화당의 유력 대선 경선후보인 부동산 재벌 도널드 트럼프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서로를 한껏 치켜세웠다. 비판에는 귀를 닫고 남성적인 ‘마초’ 성향을 보이는 등 ‘코드’가 맞기 때문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푸틴 대통령은 17일(현지시간) 모스크바에서 열린 연말 내외신 기자회견에서 트럼프를 향해 “아주 활달하고 재능 있는 사람”이라고 칭찬했다고 이타르타스 통신 등이 보도했다.
푸틴 대통령이 “러시아는 미국 유권자들이 누구를 (대통령으로) 뽑든 협력하고 싶다”고 단서를 달기는 했지만 콕 집어 거론한 대선 후보는 트럼프가 유일했다.
푸틴은 트럼프를 “특출나고 의심할 여지 없이 재능 있는 인물”이라고 거듭 강조한 뒤 현재 미국 대선 레이스를 이끌어가는 ‘절대적인 선두주자(absolute leader)’라고까지 평했다.
이에 대해 트럼프는 즉각 성명을 내고 “자기 나라 안팎에서 매우 존경받는 분에게 그런 칭찬을 받는 것은 언제나 대단한 영광”이라고 화답했다. 그는 “나는 항상 미국과 러시아가 테러리즘과 싸우고 세계 평화를 회복하는 데 서로 잘 협력해야 한다고 생각해 왔다. 물론 양국 간 무역이나 상호 존중에서 나오는 다른 이점들은 말할 필요도 없다”고 밝혔다. 다른 공화당 대선 예비후보들이 푸틴을 ‘깡패’나 ‘폭력배’로 묘사하는 것을 감안할 때 트럼프의 태도는 이례적이다.
두 사람이 서로를 향해 호감을 표시하는 데에는 단순히 정책적 입장을 떠나 개인적 성향과 스타일이 비슷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실제로 두 사람 모두 퉁명스러운 매너에 마초 이미지를 과시하려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특히 정적(政敵)이나 못마땅한 상대를 향해서는 ‘기가 약하다’거나 ‘힘과 정력이 부족하다’는 식으로 공격을 하는 데 능숙하다는 얘기들이 나온다.
트럼프는 지난 8월 대선 TV토론에서 송곳 질문을 던진 폭스뉴스의 여성 앵커를 향해 월경으로 예민해졌다고 암시하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배병우 선임기자 bwbae@kmib.co.kr
트럼프·푸틴, ‘마초’끼리는 서로 통하나
입력 2015-12-18 2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