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합동실무단의 17일 발표 결과로 드러난 주한미군 탄저균과 페스트균 실험 실태는 감염 우려는 물론 실험 안전성 논란까지 야기하고 있다. 가공할 살상력을 지닌 탄저균·페스트균을 미국 측이 우리 정부 당국에 사전 통보도 없이 국내로 16차례나 반입했기 때문이다.
합동실무단은 지난 5월 오산기지에서 실시된 탄저균·페스트균 실험 과정을 비교적 상세히 공개했다. 그러나 용산기지에서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실시된 15차례의 탄저균 실험에 대해선 일절 함구했다. 합동실무단은 “샘플을 반입해 분석·식별장치 성능 시험과 교육훈련에 사용하고 폐기 완료됐음을 확인했다”고만 했다.
용산기지 실험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전혀 공개되지 않으면서 의혹은 더 커지는 양상이다. 오산기지와 달리 용산기지에선 ‘현장 기술평가’조차 이뤄지지 않았다. 미군은 실험을 실시했던 기지 내 병원이 이제 없어졌다고 해명했다. 오산기지 실험실은 장비 성능시험을 위한 곳으로 전문시설 및 장비가 없어 생물무기 생산은 불가능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용산기지 실험실 안에 어떤 장비가 있었는지 파악되지 않아 이곳에서 진행된 실험의 구체적인 목적 또한 알 수 없다.
공개한 것 외에 다른 반입 및 실험 사례가 정말 없었는지, 제독을 포함한 후속 조치가 제대로 이뤄졌는지 등도 시원하게 설명되지 않았다. 지난 4월 오산기지에 배달된 1㎖ 분량의 탄저균·페스트균은 ‘사균화’ 상태였다고 한다. 그러나 용산기지로 반입됐던 탄저균 샘플은 양은 물론 상태, 구체적인 배달 시점도 공개되지 않았다.
북한의 생물학무기에 대응하기 위한 ‘주피터(JUPITR) 프로그램’이 추진되기 4년 전인 2009년부터 탄저균 샘플이 반입된 것도 큰 문제다.
실무단 조사가 주로 미국 측이 제공한 자료에만 의존해 있다는 점 역시 한계다. 주피터 프로그램은 다양한 독성물질 실험이 포함돼 있다. 탄저균·페스트균보다 독성이 강한 물질이 주한미군 기지로 반입된 게 아니냐는 의문을 낳는 대목이다. 이처럼 미군 측이 용산기지 실험에 대해 일절 관련 자료를 공개하지 않으면서 밝히지 못할 정도의 다른 목적 실험이나 규모가 큰 실험이 행해진 것 아니냐는 의혹만 커지고 있다.
미군이 지난 4월 오산기지 사고 당시 “탄저균 반입은 처음”이라고 거짓말한 것도 의혹을 증폭시킨다. 이번 발표조차 신뢰할 수 없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사후처리를 제대로 했는지도 베일에 가려져 있다. 합동실무단은 오산기지 실험에 대해서만 사후처리 과정을 공개했다. 균 샘플 일부만 실험에 사용하고 나머지는 멸균해 폐기했다는 것이다. 미 국방부 지시에 따라 8.25%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에 침수돼 싱크대로 흘려보냈다. 이렇게 처리하면 안전하다는 부연도 했다. 그러나 용산기지에서 어떤 일이 있었는지는 전혀 밝히지 않았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관련기사 보기]
[주한미군 탄저균 실험] 탄저균 ‘프리패스’… 美, 실험 내용·규모 함구
입력 2015-12-17 22:04 수정 2015-12-18 0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