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美 금리인상, 글로벌 양적완화 기조 반전됐다는 뜻

입력 2015-12-17 17:42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6일(현지시간) 9년6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올림에 따라 우리 경제에 미칠 파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금리인상이 예견된 데다 향후 폭과 속도가 우려할 만한 상황이 아니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어서 부정적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란 쪽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지난달 외국인 자금 유출이 지난 10년간 월 평균에 못 미치는 1조원을 웃도는 것에 그치는 등 금리인상을 전후해 국내 금융시장도 안정적인 모습이다. 우리나라는 원유·원자재 수출국이 아니며 경상수지 흑자, 외환보유액 등 대외 건전성뿐 아니라 재정건전성 등 펀더멘털이 양호해 여타 신흥국과는 분명히 차별화된다는 게 정부 당국자들의 분석이다. 국민일보가 경제·금융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긴급 설문조사한 결과에서도 다수가 큰 영향은 미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걱정했던 것과 달리 후폭풍이 심각하지 않을 것으로 나타나 그나마 다행이다.

그러나 외환보유액이 적고 달러 부채가 많은 신흥국들이 유동성 위기에 처할 수 있는 등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짙다는 점에서 긴장을 늦추지 말아야 한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도 지난달 기자간담회에서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한국경제의 가장 큰 리스크는 신흥국 위기의 파급”이라고 말했다. 미국의 금리인상이 우리 경제가 안팎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때 이뤄져 고민이 더 깊다. 우선 가계부채와 한계기업이 문제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이달까지 6개월째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언제까지 이 기조를 유지할지 의문이다. 한은이 당장 금리인상 카드를 꺼내들지는 않겠지만 이미 시중금리와 기준금리의 차이가 커진 데다 외국인의 매도세가 확산될 경우 셈법이 복잡해질 수밖에 없다. 차이나 리스크와 취약한 수출 경쟁력, 저유가 상황 등 어느 것 하나 녹록지 않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최근 실시한 ‘2016년 최고경영자 경제전망 조사’에서 응답자의 52.3%가 내년도 경영 계획의 주안점을 ‘긴축경영’에 둔다고 할 만큼 여건이 어렵다. 실제 대기업들의 인력 구조조정은 1998년 외환위기 당시를 방불케 할 정도다.

양적완화에서 완전히 벗어난 이번 금리인상의 충격을 어떻게 흡수하느냐는 결국 우리 스스로에게 달렸다. 기본적으로 국내외 금융시장 동향과 금융기관 유동성에 대한 모니터링 강도를 강화하고 컨틴전시플랜(비상계획)에 따라 체계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또 가계와 기업부채 부실이 다른 부문에 전이되지 않도록 부채의 질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내수 진작 방안을 모색하는 데 최선을 다해야겠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자신감이다. 정부, 기업, 가계 등 각 경제 주체들은 불투명한 대외 환경을 반드시 헤쳐나갈 수 있다는 의지를 단단히 다져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