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이냐, 安이냐… ‘야당 嫡子’ 호남 민심이 가른다

입력 2015-12-15 20:48
안철수 의원이 새정치민주연합 탈당과 ‘정치세력화’를 선언하면서 내년 총선에서 ‘야당 경쟁’이 불가피해졌다. 당 안팎에서는 15일 호남 민심, 안 의원의 정치세력화 방향, 새 야당의 교섭단체 구성 여부, 신당의 외연 확장성 등이 중요한 관전 포인트라는 분석이 나왔다.

우선 새정치연합과 안 의원 중 누가 야당의 ‘심장부’인 호남 민심을 잡느냐가 ‘야당 경쟁’의 결정적 변수가 될 전망이다. 호남 민심이 총선을 앞두고 문 대표와 안 의원 가운데 누구를 ‘야당 적자’로 선택하느냐에 따라 그 여론은 수도권까지 북상할 수 있다.

호남에서는 문 대표와 안 의원에 대한 지지가 엎치락뒤치락해 왔다. 중앙일보가 이날 발표한 여론조사(800명, 유무선 전화 임의번호 걸기 면접 조사,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5% 포인트)를 보면 ‘내일이 총선이라면 어느 당에 투표하겠느냐’는 질문에 호남(광주·전라)은 ‘안철수 신당’ 30.4%, 새정치연합 27.0%로 안 의원에 대한 지지가 오차범위 내에서 앞서고 있다.

문 대표와 안 의원도 그동안 호남 민심을 예의 주시해 왔다. 문 대표가 이른바 ‘문·안·박(문재인·안철수·박원순) 연대’를 제안한 곳이 광주였고, 안 의원이 혁신안과 문 대표를 정면 비판한 ‘무대’도 광주였다. 안 의원은 17일 광주 방문을 계획하고 있다. 문 대표도 당내에 ‘호남특위’ 구성 방안을 밝힌 바 있다. 본격적인 호남 민심 쟁탈전이 시작되는 셈이다.

안 의원이 밝힌 ‘정치세력화’가 곧바로 신당 창당으로 이어질지도 주목할 부분이다. 안 의원이 현실적으로 의미 있는 세력화를 하기 위해선 총선 전까지 현역 의원 20명을 확보해 교섭단체를 만들어야 한다는 분석이 많다. 안 의원이 내년 2월 15일까지 신당을 만들고 교섭단체가 되면 최대 87억여원의 국고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또 새누리당과 새정치연합의 여야 간 협상에 참여하면서 제3당으로서 입지를 확보할 수 있다.

안 의원이 ‘국민회의’라는 신당 창당에 나선 무소속 천정배 의원과 결합할지도 관심사다. 천 의원은 MBC 라디오에 나와 “우리가 먼저 창당에 들어갔지만 지분을 주장하거나 벽을 쌓을 뜻은 전혀 없다”며 ‘러브콜’을 보냈다.

하지만 안 의원이 속전속결로 신당을 만들기보다 제3지대에서 활동하면서 새정치연합을 탈당한 무소속 의원들과 느슨한 형태의 결사체를 만들 수도 있다. ‘새 정치’를 선언한 만큼 무원칙한 ‘세력 확장’에만 초점을 맞추기보다 새 정치의 방향과 내용을 채우는 데 시간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도 있어서다.

‘야당 경쟁 체제’가 총선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관심사다. 정치권에서는 단일 여당과 복수 야당 구도가 될 경우 새누리당 압승과 야권 참패 가능성이 높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반면 ‘안철수 신당’이 무당파와 중도층을 견인해 야권의 전체 ‘파이’를 키울 수 있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새누리당 홍보기획본부장을 지낸 조동원 경기도 혁신위원장은 페이스북에 “안철수 신당이 중도 우파까지 빨아들이면 새누리당은 최악일 수 있다”며 “새정치연합은 친노와 비노의 싸움에 정신없을 것이고, 새누리당은 공천 갖고 왈가왈부하는 구태정당으로 고착화되는 동안 안철수 신당은 정치에 염증을 갖고 있는 중도층의 대안이 된다”고 밝혔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