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인턴 채용 비리’ 사건을 조직적으로 축소·은폐하려는 정황이 담긴 녹취록이 공개됐다. 이 사건은 중소기업진흥공단(중진공)이 2013년 최경환 경제부총리(당시 새누리당 원내대표)의 사무실 인턴을 점수 조작에 의해 합격시킨 것으로 감사원 감사보고서를 통해 지난 9월 드러났다. 인턴은 서류전형에서 2299위에 불과했는데도 최종 합격자 36명에 포함됐다. 인사 청탁 의혹이 일자 최 부총리는 사실무근이라고 부인해 왔다. 하지만 임채운 중진공 이사장이 당시 인사총괄 부서장인 권모 실장에게 “최경환 보호해야 된다”고 압력을 넣는 대화 녹취록이 14일 저녁 공개되면서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임 이사장은 10월 22일 권 실장을 만나 “너도 책임은 다 (박철규 당시 이사장에게) 올려. 최 부총리가 살아야 너도 (살아)”라고 회유했다. 또 최 부총리와 기획재정부를 대신해 전달하는 것이라며 검찰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도록 약속받았다는 취지의 말도 했다. 이어 검찰 출석을 앞둔 권 실장에게 “감사원 보고서에 나온 것만 얘기해”라고 압박했다. 감사원 보고서가 청탁자를 특정하지 않았으므로 최 부총리 관련 내용을 진술하지 말라는 요구다. 그러고는 “최경환이는 실세야. 살아 있어”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발언은 최 부총리 측과 긴밀히 협의하지 않고는 나올 수 없다. 파문이 일자 임 이사장은 “직원 위로 차원에서 개인적으로 편하게 이야기한 것”이라고 해명했으나 이를 곧이곧대로 믿을 사람은 아무도 없다. 최 부총리가 결백하다면 ‘최경환’이란 이름을 들먹일 이유조차 없다. 직접적인 증거가 없어서 그렇지 최 부총리 측의 개입 정황은 곳곳에서 감지된다. 김범규 당시 중진공 부이사장도 국정감사에서 최 부총리가 채용 과정에 관여했다고 폭로한 바 있다.
사건을 맡은 수원지검 안양지청은 그간 중진공 관계자들에 대한 조사를 마치고도 정작 최 부총리 측 수사는 미적대 왔다. 하지만 이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든 만큼 검찰이 적극 나서서 진상을 규명해야 한다. 녹취록 내용만 해도 당사자들의 전화통화 내역과 동선 등을 추적하면 거짓인지 진실인지 구분하기 어렵지 않을 게다. ‘김수남 검찰’이 새로 출범했음에도 또다시 권력 실세에 약한 모습을 보이며 꼬리 자르기에 나선다면 국민이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사설] 최 부총리 채용비리 연루의혹 조사 미적대지 말라
입력 2015-12-15 1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