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선 국회의원으로 14·16대 국회에서 두 차례 입법부 수장을 지낸 이만섭 전 국회의장이 14일 숙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3세.
이 전 국회의장은 동아일보 정치부 기자를 거쳐 1963년 제6대 총선에서 31세의 나이로 국회에 진출, 7·10·11·12·14·15·16대 국회의원을 지낸 관록의 원로 정치인이었다. 고(故) 박정희 전 대통령에 의해 발탁돼 정계에 입문했다. 이 같은 이력으로 정치굴곡도 많았다.
공화당 의원이던 69년 그는 박정희 정권의 3선 개헌 반대투쟁에 앞장섰고, 당 의원총회에서 정권실세였던 이후락 대통령 비서실장, 김형욱 중앙정보부장의 퇴진도 공개 요구했다. 이 여파로 8년간 정치활동 공백기를 맞았다.
고인은 14대 국회 때 민주자유당 전국구 의원으로 정계에 복귀했다. 93년 4월 재산공개 파동으로 당시 박준규 국회의장이 낙마하면서 1년2개월간 입법부 수장을 맡았다. 15대 국회에선 이회창 총재를 대선후보로 선출했던 신한국당 경선에 불복해 탈당한 이인제 전 경기도지사(현 새누리당 최고위원)를 지원하기 위해 전국구의원직도 버렸다. 이후 김대중 전 대통령이 있던 국민회의에 합류, 16대 국회에서 새천년민주당 의원으로 두 번째 국회의장까지 지냈다. 2004년 16대 국회의원을 끝으로 정계에서 은퇴했다. 정치인생 대부분을 여당 의원으로 지낸 셈이다.
이 전 국회의장은 2009년 회고록 ‘5·16과 10·26, 박정희, 김재규 그리고 나’를 발간하고 서문에서 “박 전 대통령은 나의 정치적 스승”이라고 소개했다. 다만 과거 한 인터뷰에서는 “유신은 하지 않았어야 한다. 내가 저 세상에 가서 박 전 대통령을 만나도 ‘유신을 해서는 안 된다는 제 말씀을 들었으면 좋지 않았겠느냐’는 얘기를 할 것”이라고 했었다. 그는 1공화국 시절 국회 출입기자로 회의를 지켜보던 중 “자유당 이 ××들아”라고 고함을 질러 이름이 속기록에 오른 일화도 있다.
정의화 국회의장은 “평생 의회주의 한길을 걸으신 한국정치의 거목을 잃어 너무나 비통한 심정”이라며 “누구보다 꼿꼿하고 올곧은 참정치를 펼쳤던 의장님을 영원히 기억할 것”이라고 애도했다.
고인의 장례는 18일 오전 10시 국회장으로 치른다. 장례식장은 서울세브란스병원 특1호에 마련됐으며, 장지는 국립대전현충원이다. 유족은 부인 한윤복씨와 장남 승욱, 딸 승희·승인 씨 등 1남2녀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이만섭 전 국회의장 별세] 박정희 발탁에 정치 입문… ‘3선 개헌 반대’ 뚝심행보도
입력 2015-12-14 21:42 수정 2015-12-15 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