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의원이 탈당을 결행하면서 새정치민주연합 비주류 진영의 셈법이 복잡해졌다. 비주류를 결집시키던 구심점이 사실상 사라져버렸기 때문이다. 상당수 비주류 의원들은 일단 당내에서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 구성을 요구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반면 ‘선도 탈당’을 선언한 문병호 의원 등 일부 비주류 의원은 동료 의원들의 합류를 독려했다.
비주류 의원들은 14일 ‘구당모임’을 비롯해 그룹별 모임을 갖는 등 분주히 대책마련에 나섰다. 비주류 진영은 탈당보다는 당내에서 문 대표 사퇴를 압박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는 분위기다. 구당모임은 성명을 내고 “(문 대표가) 무한책임을 지고, 당 분열과 혼란 수습을 위해 조속히 비대위를 구성하라”고 주장했다.
비주류 의원들은 긴급 의원총회에서도 비대위 구성을 촉구했다. 노웅래 의원은 “이대로 가면 다 죽는다. 비대위를 구성해 통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창일 의원은 “새우 싸움에 고래등 터지고 있는 형국”이라며 “리더를 중심으로 빨리 비대위를 구성하자”고 제안했다. 정세균 의원은 “뺄셈정치가 혁신이라고 생각하는 착각이 문제”라며 ‘물갈이 공천 혁신’ 사수를 외치는 주류 진영을 겨냥했다. 반면 주류 측 강기정 의원은 “문 대표를 인정해야 하지 않느냐. 비대위 구성이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며 반론을 제기했다.
비주류의 집단 탈당 움직임이 포착되지 않는 것은 내년 총선을 코앞에 두고 기약 없이 당을 떠나는 게 불안하기 때문이다. 탈당하더라도 ‘문재인 책임론’이 최고조에 이른 시점에 여론을 등에 업고 떠나겠다는 속셈도 있다. 한 비주류 재선 의원은 “지역에서는 ‘문재인으론 안 된다’는 여론과 ‘그래도 탈당은 안 된다’는 여론이 반반”이라며 “반문(반문재인) 정서가 정점에 이르면 순차적 탈당이 이뤄질 것”이라고 했다.
만찬 모임을 가진 호남 의원들도 문 대표 책임론과 조속한 사태 수습에 방점을 뒀다. 김성곤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호남 의원의 전체 의견은 탈당보다는 대체로 신중한 입장이었다”며 “문 대표가 호남 민심을 직시하고 대안을 빨리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새정치연합 ‘공동창업주’인 김한길 의원은 “제 거취뿐 아니라 총선을 앞둔 야권 상황에 대해 고민이 깊다”며 관망 태도를 보였다. 중도성향의 김부겸 전 의원은 성명을 내고 “‘혁신’이라는 구호를 내세워 분열의 상황을 얼버무리고 책임을 피하려 해서는 안 된다”며 통합을 주문했다.
한편 문병호 의원은 동료의원들의 탈당을 적극 독려했다. 문 의원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안철수 신당의) 가닥이 잡히고 국민이 신당을 선택하는 쪽으로 이동하면 많은 의원들이 탈당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문 의원은 김한길 의원에 대해서도 “(통합과정에서) 안 의원에게 빚진 게 있다”며 합류를 압박했다. 유성엽 의원도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대통합이 없는 이상 탈당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이들은 17일쯤 탈당 기자회견을 할 예정이다.
최승욱 고승혁 기자
applesu@kmib.co.kr
[관련기사 보기]
일부 ‘선도 탈당’ 선언·구당모임 ‘文 사퇴’ 재반격 나섰지만… 비주류 ‘당내 투쟁’ 가닥
입력 2015-12-14 21:35 수정 2015-12-14 2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