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원은 삼성전자, 샤오미 등 10개 업체의 16개 보조배터리를 대상으로 시험한 결과 표시용량 대비 실제 충전 가능 용량이 56∼69% 수준에 불과했다고 14일 밝혔다. 보조배터리는 전력을 충전해두었다가 외부에서 스마트폰에 전력을 공급해 주도록 제작된 배터리로, ‘배터리 일체형’ 스마트폰에 주로 사용된다.
대용량(1만∼1만2000㎃h) 제품 중에는 알로코리아 배터리의 실제 충전 용량이 겉면에 표시된 전력공급량의 56%에 그쳐 가장 낮았다. 갤럭시코리아와 LG전자 배터리는 60%, 오난코리아와 티피링크는 62%, 소니와 샤오미는 63%, 삼성전자는 64%로 조사됐다.
중용량(5000∼6000㎃h) 제품 중에선 지트랜드의 ‘파워뱅크5506’의 실제 충전용량이 표시된 값의 58%에 그쳤다. 갤럭시코리아의 ‘파이’는 59%, 소니의 ‘CP-V5’는 60%, 삼성전자·샤오미·아이리버·알로코리아·LG전자의 배터리는 모두 64%였다.
배터리를 300회 정도 사용한 이후 배터리 용량은 알로코리아의 중용량 제품이 처음의 75% 정도로 용량이 감소해 수명이 가장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터리 충전시간은 샤오미의 중용량 제품이 3시간26분으로 가장 짧아 사용하기가 상대적으로 편리했다. 소니의 대용량 제품은 충전시간이 11시간55분으로 가장 길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삼성전자, 샤오미, 소니를 제외한 나머지 회사들이 겉면에 배터리의 충전용량만 표시하고 실제 충전용량은 표시하지 않아 오해의 소지도 많다”고 지적했다.
김혜림 선임기자 mskim@kmib.co.kr
보조배터리, 표시 용량의 70%도 충전 안돼… 소비자원, 16개 제품 시험
입력 2015-12-14 1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