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와 양당 원유철·이종걸 원내대표는 12일 국회에서 만나 선거구 획정 기준을 정하기 위한 최종 담판을 벌인다. 여야는 오는 15일 선거구 획정을 위한 본회의를 열기로 했지만 처리 여부는 불투명하다.
정의화(사진) 국회의장은 예비후보자 등록이 시작되는 15일까지 결론을 못 내면 ‘특단의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힌 데 이어 11일에도 압박 수위를 높였다. 정 의장은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선거구 획정의) 법적 책임이 없다고 뒷짐 지고 있을 수는 없다”며 “안 되면 그때는 내가 무엇인가 액션에 들어가야 한다”고 했다. 직접 중재안을 내든, 독립기구인 선거구획정위원회가 직접 획정 기준을 정하도록 하든 할 수 있는 여러 수단을 강구해보겠다는 의미다. 협상 시한을 정함으로써 여야 합의를 종용하는 효과도 있다.
여야는 여전히 평행선을 달렸다. 새누리당은 더 강경해졌다. 김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아무리 고민해도 새로운 방법이 나올 수 없다”며 “선거구 수를 어떻게 하느냐만 결정해야지 새로운 선거 제도를 도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했다. 야당에서 어떤 안을 갖고 와도 받아들이기 어려우냐는 질문엔 “내가 볼 때는 어렵다”고 답했다. 지역구 수를 늘리고 비례대표를 줄이는 것 외에 다른 논의는 불가함을 거듭 확인한 것이다.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여당 간사인 이학재 의원도 “야권이 지역구는 후보 단일화로 우위를 점하고, 비례대표는 연동형으로 실속을 챙겨 (여당의) 과반 의석을 무너뜨리려고 한다”며 “이것이 새누리당이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못 받는 이유”라고 못 박았다. 조원진 원내수석부대표는 “여야 회동이 결렬되면 모든 협상을 중단해야 한다. 더 이상 대안도 없는 야당에 끌려다닐 필요 없다”고 했다.
극심한 내분에 휩싸인 새정치연합은 여당의 태도 변화만 촉구하고 있다. 최고위원회의에서도 선거구 획정은 아예 거론되지 않았다고 한다. 김성수 대변인은 선거구 공백이 직권상정 요건인 국가비상사태에 해당된다는 새누리당 주장에 “과도한 해석”이라고 했다.
새누리당은 15일 본회의 때 여야가 합의 후 처리하기로 했던 중점 법안들을 함께 통과시키자는 입장이지만 새정치연합은 상임위에서 더 논의해야 한다고 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채찍 든 정의화 “뒷짐만 지고 있을 순 없다” 연일 압박… 여야, 12일 ‘선거구 획정’ 최종담판
입력 2015-12-11 2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