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대 마지막 정기국회가 종료되면서 박근혜 대통령이 단행할 개각 시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내년 4월 20대 총선 출마를 희망하는 현역 장관들의 교체를 위해선 시간적 여유가 별로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박 대통령이 경제활성화 법안 등의 정기국회 회기 내 처리에 총력을 기울였음에도 별다른 소득 없이 끝나면서 개각 시점에도 변수가 생긴 모양새다.
일단 청와대는 현재 개각을 언급할 분위기가 아니라고 밝히고 있다. 여러 정치일정상 금명간 개각은 불가피하지만 4대 개혁과 경제 살리기 등 최우선 국정과제 이행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개각을 단행하기 쉽지 않다는 뜻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10일 “개각을 얘기할 상황이 아니고, 현재 상황에서 개각만이 중요한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도 개각에 대해선 별다른 언급이 없다고 한다. 정기국회 종료 직후 단행될 것으로 예상됐던 ‘5+α(알파)’의 중폭 개각도 다소 미뤄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이르면 11일이 유력하던 장관 교체 시점이 이번 주를 넘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개각이 그리 멀지는 않았다는 게 청와대와 여권의 대체적인 분위기다. 정기국회에서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안, 새해 예산안이 처리되는 등 일부나마 성과를 거뒀고, 향후 예정된 정치일정 등을 감안하면 개각을 마냥 늦출 수도 없다는 것이다. 특히 장관 교체가 기정사실화된 일부 부처에서는 지난달부터 후임 장관 후보군을 놓고 하마평이 계속되는 상황이다. 결국 박 대통령으로선 후보자 공직사퇴 시한과 후임 인사청문 절차 등을 감안해 아무리 늦어도 다음주 초 전에는 개각을 할 수밖에 없다는 시각이 많다.
이번 개각에서 새로 내정될 장관 후보군은 정통 관료들이 전진배치될 개연성이 높다. 집권 4년차 국정을 안정적으로 이끌면서 동시에 개혁을 차질 없이 추진하기 위해선 실무형 관료가 적임자이기 때문이다. 박근혜정부 경제팀 수장인 경제부총리도 안정감을 줄 수 있는 경험과 경륜이 많은 인사가 발탁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분위기다.
여권 내에서는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임으로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급부상하고 있다. 박 대통령이 지난 8일 국무회의에서 인터넷전문은행, 계좌이동 서비스 등 금융개혁에 대해 후한 평가를 한 것이 바로 임 위원장을 염두에 두고 한 언급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이밖에 김준경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 김동연 전 국무조정실장 등도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출마설이 나도는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임으로는 추경호 국무조정실장을 비롯해 주형환 기재부 1차관, 이관섭 산업부 1차관, 김재홍 코트라 사장 등이 거론된다. 사회부총리 후임에는 이준식 전 서울대 부총장이 우선 거론되고 여기에 임덕호 전 한양대 총장도 오르내린다. 행정자치부 장관 후보로는 홍윤식 전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 정재근 행자부 차관, 이승종 지방자치발전위원회 부위원장, 유민봉 전 청와대 국정기획수석이 거론된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개각, 실무형 정통 관료들 전진 배치 예상
입력 2015-12-10 21:42 수정 2015-12-11 1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