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민노총의 과격투쟁이 反노동운동 여론 확산시켜

입력 2015-12-10 18:06 수정 2015-12-12 14:29
한상균 민주노총 위원장이 10일 경찰에 자진 출두했다. 조계사에 은신한 지 24일 만이다. 그는 출두 직전 기자회견에서 “법정에서 공안탄압의 불법적 실체를 밝히고, 불의한 정권의 민낯을 까발릴 것”이라고 말했다. 마치 정의를 지키는 양심범처럼 행동했다. 같은 편한테는 당당하게 보였을 수 있었는지 모르겠다. 하지만 폭력 시위를 주도하고 재판을 거부해 체포·구속영장이 발부된 사람의 회견 모습을 TV를 통해 지켜보는 국민들의 심경은 대단히 불편했을 것이다. 법치가 무시당한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그는 잠시 현장을 떠나지만 투쟁을 계속할 것이라며, 또다시 민노총의 총파업을 주장하고 있다. 한 위원장이 회견 때 동여맨 ‘비정규직 철폐’ 머리띠는 보기에도 민망하다. 민노총은 과연 비정규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정으로 실체적이고 책임 있게 노력했는지를 자문해 봐야 한다.

민노총이 말하는 통칭 ‘2000만 노동자 대표’는 이제 성립되지도 못한다. 민노총 소속 노조원은 겨우 3%에 불과하다. 그것도 일부 대기업과 공기업 등이 주류다. 일각에서 귀족 노조라고 비판받는 노조들이다. 올해 창립 20주년인 민노총은 과격성과 집단 시위, 철지난 이념과 정치투쟁 등으로 노조원 수가 오히려 줄었다. 왜 그렇게 사람들이 등을 돌렸는가는 민노총이 오히려 더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노동계 내부에서조차 민노총의 투쟁 방향·방식에 비판이 나올 정도다. 무조건 싸우려는 것은 물론이고 정부와 노동계, 정부와 국민 간 갈등을 유발시키는 게 주목적이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들 정도다. 노동자 이익 보호보다는 민노총 조직의 존재를 위해, 일부 누리고 있는 기득권을 위해 눈감고 귀 막고 투쟁 일변도로 치닫는 것은 본말이 전도된 것이다.

이제 민노총은 창립 20주년을 맞아 제자리로 돌아가야 한다. 민노총 내부에서도 과격한 투쟁이 아니라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방법으로 노동자 이익을 극대화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을 것이다. 그런 목소리를 막는다면 민주적 단체라 할 수 있겠는가. 계속 폭력 시위를 주도하고 정치투쟁으로 일관한다면 민노총은 노동운동에 비교적 우호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보통 서민들조차 싸늘하게 돌아서게 만드는 주범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