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파국만은 막자”… ‘文 사퇴 후 비대위’ 급부상

입력 2015-12-09 21:13 수정 2015-12-10 00:29
새정치민주연합 '구당모임'소속 의원들이 9일 국회 의원회관에 모여 '문재인-안철수' 갈등 해결 방안 등을 논의하고 있다.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유성엽 신학용 노웅래 장병완 김동철 변재일 강창일 김영환 최원식 정성호 의원.

새정치민주연합에서 문재인 대표와 안철수 의원 간 정면충돌에 따른 분당을 막기 위해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를 만들자는 절충안이 힘을 얻고 있다. 문 대표 사퇴가 전제된 과도적인 기구를 구성해 파국을 피하자는 것이다. 하지만 문 대표와 안 의원 모두 ‘임시봉합’에는 부정적이어서 비대위가 현실화될지 미지수다.

새정치연합 수도권 지역구 의원 모임, 전·현직 원내대표 모임, 비주류 성향의 구당모임 등이 9일 오전 동시다발적으로 열렸다.

수도권 모임에는 김상희 김영주 김현미 민병두 박홍근 신경민 오영식 우원식 윤관석 조정식 의원 등 10명이 참석해 비대위 구성에 뜻을 모았다. 신경민 의원은 모임 후 “문 대표, 안 의원 얼굴로 총선·대선을 치러야 한다는 건 공통적인 인식”이라며 “방안은 비대위로 가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들은 문 대표와 안 의원의 공동책임 아래 당을 비상지도체제로 전환해 혁신과 통합의 과제를 수행할 것을 요구하는 중재안을 마련, 당직자를 제외한 수도권 의원 전원을 대상으로 서명 작업에 착수했다. 문 대표에게는 대표직 사퇴 후 비대위 참여를, 안 의원에게는 탈당하지 말고 비대위에서 혁신을 완성하라는 주문이다. 10일까지 서명을 받은 뒤 양측에 중재안을 제시한다는 계획이다. 비대위원장 후보로는 최근 차기 총선 지역구 불출마를 선언한 김성곤 의원 등이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종걸 원내대표와 원혜영 박영선 박지원 전병헌 의원 등 전직 원내대표들도 조찬회동에서 비대위에 뜻을 모았다. 이 원내대표는 회동 후 “수도권 의원들을 포함한 과반수 분들이 비대위 체제로 이 위기를 극복하는 게 좋겠다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고 했다.

강경 비주류 성향의 ‘구당모임’도 비대위 체제에는 동의하지만 안 의원이 주장한 혁신 전대도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문제는 문 대표와 안 의원의 수용 여부다. 문 대표는 비대위가 ‘나눠먹기식’ 봉합이 돼 혁신안이 좌초될 우려가 크다고 보고 있다. 한 관계자는 “문 대표는 무조건 혁신안을 지켜야 하고, 그래서 사퇴는 못한다는 입장”이라고 했다.

안 의원 측은 더 부정적이다. 한 관계자는 “근본적인 체질 개선을 이야기한 것인데 비대위로 봉합하자는 것은 본질을 흐리는 일”이라고 말했다. 특히 문 대표와 가까운 조국 서울대 교수가 비대위를 제안한 이후 당내에서 이런 구상이 확산되는 것에 대해 의심을 거두지 못하는 모습이다. 안 의원은 현재 서울 근교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안 의원 측 문병호 의원은 광주에서 기자들과 만나 “문 대표가 이번 주까지 사퇴하지 않으면 안 의원은 다음 주쯤에는 결단을 내릴 것”이라고 압박했다. 문 의원은 교통방송 라디오에서 “낮에는 문 대표가 대표고, 밤에는 조국 교수가 대표가 아닌가”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한편 무소속 천정배 의원은 신당의 명칭을 ‘국민회의’(가칭)로 정하고 당 색깔은 오렌지색으로 정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 1997년 정권교체를 성공시킨 당의 이름이 ‘새정치국민회의’였다는 점을 고려했다는 설명이다.

임성수 고승혁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