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에서 최하위를 기록했다. 초동 대응에 실패하는 등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사태 때 우왕좌왕한 결과로 보인다.
국민권익위원회는 617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5년도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결과’를 9일 발표했다. 전체 평균은 지난해보다 0.11점 오른 7.89점이었다. 복지부는 10점 만점에 6.88점으로 중앙행정기관 중 꼴찌였다. 지난해보다 0.87점이나 떨어져 측정 대상 공공기관 가운데 가장 하락폭이 컸다.
정원 2000명 이상의 중앙행정기관 18곳 중 1위는 통계청(8.10점)이었다. 복지부에 이어 국세청(6.94점) 검찰청(6.95점) 고용노동부(7.09점) 국방부(7.18점) 국토교통부(7.19점) 등이 하위그룹을 형성했다.
정원 2000명 미만의 중앙행정기관 25곳 중에는 새만금개발청(8.37점)이 1위, 교육부(6.89점)가 꼴찌였다. 환경부(7.22점) 방위사업청(7.36점) 기획재정부(7.42점) 문화재청과 기상청(각 7.47점) 공정거래위원회(7.52점) 법제처(7.54점)가 하위권이다.
광역자치단체 17곳 중에서는 대전시(7.60점)의 청렴도가 가장 높았고, 경북도(6.36점)는 제일 낮았다. 시·도교육청 가운데 1등은 제주교육청(7.84점), 꼴찌는 서울시교육청(7.02점)이었다.
기관 유형별로는 공직유관단체(평균 8.24점)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반면 광역자치단체(평균 7.22점)는 밑바닥이었다. 청렴도는 평가대상 공공기관의 민원인, 소속 직원, 학계·시민단체 등이 응답한 설문조사와 부패사건 발생 등을 종합해 산출했다.
홍석호 기자 will@kmib.co.kr
메르스 키운 복지부 청렴도 꼴찌 불명예
입력 2015-12-09 2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