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사진) 대표가 이종걸 원내대표에게 “왜 원내대표가 지도부를 흔드느냐”며 ‘격노의 전화’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투 톱’인 이 원내대표가 지난 7일부터 최고위원회의에 불참하고 자신의 대표직 사퇴를 촉구한 것을 강력 성토한 것이다.
문 대표는 8일 밤 최고위에 연일 불참한 이 원내대표와의 장시간 통화에서 “최고위에 출석하지 않는 것은 당무 거부”라며 “왜 원내대표로서 당무를 거부하고 한쪽(비주류)에 편중되는 행동을 하느냐”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무를 계속 거부하게 되면 원내대표로서 위치를 인정하지 않겠다”는 말까지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원내대표는 9일 기자들과 만나 “저는 최고위에 불참하더라도 이것은 결코 당무 거부가 아니기 때문에 당무와 관련해 수시로 의논하고 연락드리고 수행하겠다고 (문 대표에게) 답변을 드렸다”며 “문 대표는 그런 건 좋은데 최고위에는 참석했으면 좋겠다고 만류했다”고 했다. 통화 과정에서 이 원내대표는 중재안으로 대표직 사퇴를 전제로 한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를 문 대표에게 제안했다고 한다. 그러나 문 대표는 격한 어조로 분명하게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고 한다.
문 대표는 비공개 최고위에서도 “최근 당무 거부 사퇴가 대단히 유감스럽다”며 “특히 원내대표는 전체 의원을 아울러야 하는데, 특정 계파에 서서 당무를 거부하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또 “당무를 거부하는 당직자들에게 경고한다”며 “당무를 거부하려면 당직을 사퇴하는 것이 도리다. 사퇴를 하지 않으면서 당무를 거부할 경우 교체할 수밖에 없다는 경고의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한편 이날 진행된 당무위원회의에서는 ‘안철수 10대 혁신안’을 당헌에 반영하기 위해 중앙위에 부의하는 안건을 의결하기로 했지만 무산됐다. 부패 혐의로 기소가 된 이들에 대한 당원권 정지 조항 등에 대해 반대 의견이 많았다고 한다. 새정치연합은 이 조항들에 대한 좀 더 심도 깊은 논의를 최고위에서 이어가기로 했다.
새정치연합 당무위는 최근 오영식·주승용 최고위원의 사퇴로 최고위원직에 결원이 생긴 데 대한 보궐선거를 중앙위에서 개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최고위원 숫자만 메우는 방식으로는 당 통합이 이뤄지지 않는다”는 의견이 우세했기 때문이다. 대신 정족수를 현행 9명에서 7명으로 줄여 최고위원 체제를 유지해 나가기로 했다. 다만 “현 지도부에 대한 지지 선언 없이 정족수 문제만 봉합하고 가는 것도 미봉책”이라는 의견이 나와 지도부에 대한 전폭적인 신임도 함께 결의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관련기사 보기]
문재인, 한밤의 격노 전화 “왜 원내대표가 당무 거부하고 지도부 흔드나”
입력 2015-12-09 2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