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대통령… “참여정부 적극 추진했던 정책, 野 이제 와서 반대”

입력 2015-12-08 21:37
박근혜 대통령이 8일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며 단호한 표정으로 국회의 경제활성화 법안 및 노동개혁 5개 법안 처리 지연을 성토하고 있다. 서영희 기자

박근혜 대통령은 8일 청와대 국무회의에서 사실상 야당을 정면 겨냥해 각종 법안 처리 지연 상황을 성토했다. 그동안 법안 처리를 촉구하면서 “국회” “정치권”이라는 표현은 써왔지만, 이번에는 “노무현 전 대통령” “참여정부 집권 시절” 등을 언급하면서 ‘야당 책임론’을 집중 제기했다. 새누리당과 정부가 노동개혁 법안 등의 연내 처리를 위해 총력전을 펴는 상황에서 이를 반대하는 새정치민주연합에 다시 한번 압박을 가한 것이다.

박 대통령이 지난달부터 국무회의 석상에서 국회의 법안 처리 지연을 정면 비판한 것은 11월 10일과 24일에 이어 세 번째다. 이번 국무회의는 당초 청와대와 세종시를 연결하는 영상국무회의로 잡혀 있었으나 박 대통령 지시로 전 국무위원을 청와대로 소집하는 일반 국무회의로 변경됐다.

박 대통령은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을 거론하면서 집권할 때는 이를 추진하던 야당이 이제는 입장을 바꿔 반대하고 있다고 적시했다. 박 대통령은 “노무현 전 대통령도 신년연설에서 ‘일자리를 위해선 의료서비스가 중요하다’고 강조했고, 참여정부가 발표한 서비스산업 경쟁력 강화 대책에도 보건·의료 분야가 분명히 포함돼 있다”고 했다. 이어 “이제 와서 보건·의료 분야를 제외하자고 하면서 법 통과를 안 시키고 있는 것, 이것은 우리가 어떻게 해석을 해야 하나”라고도 했다. 새정치연합에 직격탄을 날린 셈이다. 그러면서 “우리만 우물 안 개구리 식으로 막는다고 막아지는 게 아니다. 결국 우리만 뒤떨어지게 될 뿐”이라고 했다.

노동개혁 5법에 대해서도 “낡은 노동시장 구조를 고집하면서 개혁을 거부하는 것은 청년들과 나라의 미래에 족쇄를 채우는 것”이라는 말로 야당을 비판했다. “명분과 이념의 프레임에 갇혀 있다”며 그 주체를 ‘국회’로 표현했지만, 이것도 사실상 새정치연합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에는 야당이 일자리 창출, 미래 먹거리, 신성장산업 등 미래세대를 위한 제도적 틀을 마련하는 취지의 정책에 사사건건 정략적으로 반대하고 있다는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또 박 대통령이 언급한 “기득권 집단”은 노동개혁 법안에 반대하며 시위를 주도하는 민주노총을 거론한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박 대통령은 국회에 장기 계류 중인 테러방지법에 대해서도 사실상 야당에 책임을 돌렸다. 박 대통령은 “앞으로 상상하기 힘든 테러로 우리 국민이 피해를 입게 됐을 때 그 책임이 국회에도 있다는 사실을 분명히 말씀드리고, 국민이 그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우리나라가 기본적인 (테러방지)법 체계조차 갖추지 못하고 있다는 것은 전 세계가 안다. IS(이슬람국가)도 알아버렸다”며 “이런 데도 천하태평으로 법을 통과시키지 않고 있을 수가 있겠나”라고도 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