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화’는 피해갈 수 없는 파도다. 저출산의 영향으로 한국은 2017년부터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고 2031년부터는 전체 인구도 본격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각에서는 한국사회가 ‘바람 앞의 등불’과 같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교회도 예외는 아니다. 어린이들이 내뿜던 활기는 갈수록 잦아들 것이며 성도들은 나날이 늙어갈 것이다.
이처럼 위기에 직면한 한국사회를 위해 종교계가 나섰다. 국내 7대 종단 지도자들의 모임인 ㈔한국종교지도자협의회(종지협)는 8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저출산 극복을 위한 종교계 실천 선언문’을 발표했다. 저출산 극복을 위해 사회 각계의 참여를 독려하자는 취지다.
이 자리에는 이영훈 한국기독교총연합회 대표회장, 자승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한은숙 원불교 교정원장, 어윤경 성균관장, 박남수 천도교 교령, 한양원 한국민족종교협의회 회장 등 종지협 공동대표들이 함께했다.
종지협은 먼저 가족 친화적 가치관을 확산하고 사회문화 개선을 위해 협력할 것을 다짐했다. 종교지도자들은 “생명존중 사상을 전파하고, 낙태방지와 자살예방을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선언했다.
이어 “아이와 부모가 모두 행복할 수 있도록 임신·출산·양육에 대한 사회적 배려를 강화하고 아이들이 미래의 희망임을 전파하겠다”며 “모든 생명과 가족이 존중받는 모습을 대중에게 알리며 결혼과 출산에 대한 긍정적 가치관을 확산시키겠다”고 밝혔다. 또 “건강하고 화목한 가정 안에서 많은 아기가 탄생할 수 있도록 교육에 힘쓸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행사에는 황교안 국무총리와 김희정(여성가족부) 정진엽(보건복지부) 장관이 참석해 각계의 협력을 당부했다. 황 총리는 “저출산은 우리 사회의 행복지수와 경제성장 잠재력을 떨어뜨리고 사회의 장기적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문제”라며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적 노력은 물론 사회 전반에 생명을 존중하고 가족의 가치를 이해하며 배려하는 문화가 함께 확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선언을 계기로 젊은이들이 가정을 이루고 아이를 낳아 행복하게 기를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데 모두가 동참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종지협은 향후 생명보호와 차별금지 문화를 조성하고, 미혼모·다문화·입양가정에 대한 지원과 인식개선을 위해 캠페인을 전개할 계획이다.이사야 기자 Isaiah@kmib.co.kr
종교계, 저출산 극복 위해 힘 모은다… 7대 종단 지도자들 ‘실천 선언문’ 발표
입력 2015-12-08 1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