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 걷고 공장 세우고… IS 국가운영 시도 정황

입력 2015-12-08 20:10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가 단순 테러조직에 그치지 않고 세금을 걷고 정부 조직을 세우는 등 실제 어엿한 ‘국가 체제’를 세우려 한 구체적 정황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7일(현지시간) ‘IS 정부의 운용기조’라는 제목이 달린 24페이지 분량의 IS 내부 문서를 입수해 공개했다.

이 문서는 IS 지도자 아부 바크르 알바그다디가 ‘칼리파 국가’를 선언한 직후인 2014년 7월에서 10월 사이 간부 교육을 목적으로 작성됐다. 10개 목차로 구성된 이 문서에는 통치체제와 경제, 군사, 세출입 분야 등 기본적인 국가 운영 사항을 비롯해 외교관계, 선전 활동, 원유와 가스 통제 방침 등의 청사진이 담겼다.

문서에 따르면 IS는 종파 및 인종이 다른 각 지역마다 지방정부를 설치하고, ‘안전지대’를 설정해 민간인들이 안심하고 머물 수 있도록 했다. 여기에 군대와 식료품 생산을 위해 독립된 공장을 짓고 숙련 병력에게 매년 2주간 최신 군사기술을 습득하게 하는 등 군 운영 방침을 포함시켰다.

외교 분야에선 내정간섭 금지 및 영토주권을 천명했으며 이슬람권과의 유대 강화 등의 원칙을 세워놓기도 했다.

IS가 일반적 국가들처럼 세율을 설정해 재정을 충당하고 있는 정황도 드러났다. 미국 CNN머니는 6일 제네바안보센터를 인용해 IS가 매년 800만명에 달하는 점령지 주민들로부터 걷는 돈이 3억6000만 달러(약 4241억원)에 달한다면서 이를 ‘자캇’(일종의 종교세)이라 부른다고 전했다. 구체적으로 소득세 10%, 기업세 10∼15%, 판매세 2% 등이다.

하지만 은행 예금인출에 5%, 의약품에 10∼35%의 세금을 부과하거나 기독교인에게 ‘지즈야’(인두세)를 걷는 등 불합리한 부분이 많았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시장조사기관 IHS를 인용해 IS가 재정수입의 절반을 석유 판매가 아닌 조세에서 충당한다면서 “연합군이 IS의 원유시설을 폭격해 자금줄에 타격을 준 건 사실이지만 민간인 피해의 위험 때문에 재정의 나머지인 조세수입까지 차단키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효석 기자 prome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