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경쟁하는 전당대회는 결단코 받아들일 수 없다”며 강경한 입장을 재확인했다. 안철수 의원에게는 협력할 수 있는 다른 방안을 제시하라고 요구했다. 두 사람이 서로 수용하기 어려운 방안으로 ‘최후통첩’을 하면서 양측의 접점 마련 가능성이 더 희박해졌다.
문 대표는 8일 관훈클럽 주최로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대결하자고 하면 저는 제가 가진 대표의 권한으로 어떤 상처를 받더라도 끝까지 뚝심 있게 걸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안 의원이 요구한 ‘혁신 전당대회’를 ‘분열의 길’이라고 했던 기존 입장에서 물러서지 않겠다는 의지 표명이다. 안 의원에게는 “제가 제안했던 방식(문·안·박 연대)이 마땅치 않다면 협력할 수 있는 다른 방안을 제시해 달라”고 손을 내밀었다. 이어 “제가 다시 새로운 제안을 내놓을 처지는 아니다”라고 했다. 사실상 ‘최후통첩’인 셈이다.
문 대표는 안 의원의 탈당 가능성을 일축했다. 새정치연합을 만든 ‘공동창업주’인 안 의원이 ‘대표 사퇴’를 요구하며 탈당하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문 대표는 “저와 안 의원이 서로 등을 돌리고 경쟁한다면 국민과 당원이 용서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비주류 진영의 탈당설에 대해서도 “공천에 대한 불안과 걱정 때문에 탈당을 선택한다면 국민이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며 “(탈당설은) 저에 대한 압박용”이라고 말했다.
안 의원에게 손을 내민 것과 달리 문 대표는 비주류를 향한 불신을 가감 없이 드러냈다. 문 대표는 “안 의원은 비주류라고 하는 분들과 생각이 다르다”며 “혁신을 바라는 사람끼리 힘을 모으자는 제안을 거부하고, 오히려 혁신에 저항하고 반대하는 분들과 함께한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했다. 안 의원은 자신과 함께 당 혁신을 이끌 ‘파트너’이지만 비주류 의원들은 ‘혁신 저항 세력’이라는 인식이다.
문 대표는 대표직 사퇴의 조건으로 ‘천정배 신당’ 및 정의당과의 통합전대를 제시했다. 그는 “정의당 또는 천정배 신당 등과 통합하는 전당대회라면 대표직을 내려놓을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정의당과 천정배 의원은 즉각 거부 의사를 밝혔다. 천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새정치연합이 신당으로 들어오지 않는 한 당 통합은 없다”고 말했다. 정의당도 “고려사항이 아니다”라고 못 박았다. 내년 총선의 1차 목표를 ‘새누리당 과반 의석 확보 저지’라고 밝힌 문 대표는 “총선에서 실패하면 자연스럽게 정치생명이 끝나지 않겠느냐”고도 했다.
문 대표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에 대해 “우리 당 출신이고, 우리(노무현정부)가 만들어낸 유엔 사무총장”이라며 “(반 총장이) 정치를 한다면 당연히 우리 당과 함께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야권 대권후보로서의 반 총장 영입 의사에 대해서도 “그런 욕심을 가지고 있다”고 답했다.
이후 문 대표는 서울 마포구 국민TV 공연장에서 열린 ‘역사국정교과서 저지’ 토크콘서트에 참석해 “요즘 제가 대표 자리가 간당간당하죠”라며 지지를 호소했다.
한편 당 혁신위원이었던 조국 서울대 교수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문 대표와 안 의원이 모두 포함된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을 촉구했다. 조 교수는 안 의원이 탈당해 천 의원 신당과 합류할 경우 수도권에서 야권이 고전할 것을 우려했다. 그는 ‘김상곤 혁신안’과 ‘안철수 혁신안’의 실천을 전제로 “두 사람이 비대위에 합류하고, 비대위원장은 다른 사람으로 임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최승욱 고승혁 기자 applesu@kmib.co.kr
[관련기사 보기]
文 “대결하자면 뚝심있게 갈 것”…사실상 ‘분당전야’
입력 2015-12-08 21:16 수정 2015-12-09 0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