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다른 골목 몰린 문재인의 선택은… 어떤 연대든 논의는 가능, 대표직 사퇴만큼은 불가

입력 2015-12-07 21:51 수정 2015-12-07 23:56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오른쪽)가 7일 국회 당 대표실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문 대표 양쪽으로는 이종걸 원내대표와 주승용 최고위원의 당무 거부로 자리가 비어 있다. 이동희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안철수 의원의 ‘혁신 전당대회’ 제안을 거부한 데 이어 자신의 ‘문·안·박(문재인·안철수·박원순) 연대’도 사실상 철회했다. 안 의원의 ‘최후통첩’에 대해선 재차 거부 입장을 밝히면서도 내년 총선을 준비할 다른 협력 체제 구성도 가능하다는 주장을 내놨다.

문 대표는 7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전대를 한 번 더 촉구한 안 의원 제안에 대해 제가 오늘도 대답을 드리기가 난감하다”면서 “어쨌든 지금 우리한테 필요한 것은 함께 손을 잡고 단합하고 협력하는 것이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 방안으로 문·안·박 협력 체제를 제안했는데 만약 그 방안이 적합하지 않다면 또 다른 방안이라도 협력 체제가 모색돼야 한다”고 했다. 문 대표는 이후 언론 인터뷰에서는 전대와 관련해 “분열, 그 다음에 또 많은 후유증은 현실상 불가피하게 되지 않나”라며 거부 입장을 재차 확인했다.

문 대표는 안 의원과의 협력을 구상하고 있지만 대표직 사퇴 방안은 포함시키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중재안으로 제시됐던 조기 전대나 ‘문·안 동반 2선 후퇴론’, 중진 연석회의, 비대위 체제 등으로는 당 혁신안 실천이 담보되지 않는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문 대표 측 관계자는 “혁신안을 지키고 내년 총선 책임을 지겠다는 것이 대표의 생각”이라며 “사퇴는 곧 혁신 실패와 나눠먹기 공천으로 이어지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안 의원은 문 대표의 사퇴를 줄기차게 요구하고 있다. 문 대표와 안 의원의 접점 찾기 가능성이 낮아 보이는 이유다.

문 대표는 혁신·총선 준비를 신속하게 진행시키고 있다. 민생·정책 행보도 이어가기로 했다. 최고위원회는 ‘안철수 혁신안’의 당헌·당규 반영안을 9일 당무위원회에 상정하기로 했다. 최고위원이 사퇴해 공석이 생길 경우 그 대체 의원을 중앙위원회에서 선출하는 방안도 마련했다. 최고위원을 사퇴한 오영식 의원의 빈자리와 향후 생길 수 있는 지도부 공백을 메우기 위한 포석이다. 최고위원회는 또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의 현역의원 평가 기준 시행세칙도 의결했다. 이로써 평가위는 하위 20% ‘물갈이’를 위한 평가에 본격 착수할 수 있게 됐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