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은 정면돌파 전략… 당을 총선체제로 전환 혁신·공천 드라이브 가속화

입력 2015-12-06 21:49
안철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6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혁신 전당대회’를 거부한 문재인 대표를 강력 비판한 뒤 회견장을 나서고 있다. 오른쪽 사진은 문 대표가 여야 지도부 간 총선 선거구 획정 협상이 열린 국회 귀빈식당으로 들어서는 모습. 이병주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안철수 의원이 기자회견을 통해 ‘최후통첩’성 발언을 쏟아냈지만 이에 일절 답하지 않았다. 오히려 내년 총선을 겨냥한 정책 행보에 집중했다. ‘안철수 혁신안’을 당헌·당규에 반영하는 것으로 당 리더십 논란에 마침표를 찍고, 총선체제로 서둘러 당을 전환하겠다는 정면돌파 전략으로 해석된다.

문 대표는 6일 국회에서 열린 ‘유능한 경제정당위원회’의 비정규직 4대 개혁 정책기자회견에 직접 참석해 새누리당 노동개혁 법안을 강력 비판했다. 그는 “비정규직을 늘리는 법안을 용인한다면 저 자신을 용서하지 못할 것”이라며 “성장에도 안보에도 유능한, 실력 있는 정당이 돼서 국민의 선택을 받겠다”고 했다. “유능한 경제정당은 정책뿐만 아니라 결국 사람으로 인정받는 것”이라며 인재 영입에 집중할 것을 시사했다.

문 대표의 이 같은 스탠스는 당을 총선체제로 서둘러 전환시키겠다는 의도로 여겨진다. 안 의원이 던진 ‘조기 전대론’ 카드를 일축한 뒤 총선기획단과 정책공약준비단을 즉시 꾸릴 것을 지시한 것과도 일맥상통한다. 한 당직자는 “문 대표가 당의 총선 정책이 준비될 경우 즉시 발표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전했다.

문 대표는 안 의원의 기자회견에 대해서는 입을 열지 않았다. 취재진의 질문공세에도 “(그 얘기는) 오늘 제가 하지 않겠다”고만 답했다. 자신의 행보가 묻힐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표를 중심으로 한 혁신·공천 드라이브도 가속화될 전망이다. 새정치연합은 안 의원 혁신안을 당헌·당규에 반영하기 위한 당무위원회와 중앙위원회를 각각 오는 9일, 14일 소집하기로 했다. 구성 시한을 이미 넘겨버린 공직선거후보자검증위원회와 시한이 열흘 앞으로 다가온 전략공천관리위원회의 위원장 인선 문제도 조만간 결론 낼 방침이다.

문 대표가 속도전을 이어갈 경우 안 의원과 비주류가 결집할 시간은 그만큼 줄어든다. 비주류는 당무위·중앙위에서 안철수 혁신안 관철을 눈뜨고 지켜볼 수밖에 없게 된다. 공천 기구가 꾸려진 뒤에는 내년 공천을 의식한 현역 의원들이 대거 나서기도 쉽지 않다.

문 대표가 안 의원의 탈당 기류를 의식해 조기 전대 제안을 수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주류 측에서는 “혁신 드라이브를 걸겠다는데 안 의원에게 탈당할 수 있는 명분이 있겠느냐”는 반응이 나온다. 문 대표 측 관계자는 “새로운 제안이 없다면 이대로 가야 한다. 공천기구 인선을 곧 시작할 것”이라고 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