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안철수 의원이 기자회견을 통해 ‘최후통첩’성 발언을 쏟아냈지만 이에 일절 답하지 않았다. 오히려 내년 총선을 겨냥한 정책 행보에 집중했다. ‘안철수 혁신안’을 당헌·당규에 반영하는 것으로 당 리더십 논란에 마침표를 찍고, 총선체제로 서둘러 당을 전환하겠다는 정면돌파 전략으로 해석된다.
문 대표는 6일 국회에서 열린 ‘유능한 경제정당위원회’의 비정규직 4대 개혁 정책기자회견에 직접 참석해 새누리당 노동개혁 법안을 강력 비판했다. 그는 “비정규직을 늘리는 법안을 용인한다면 저 자신을 용서하지 못할 것”이라며 “성장에도 안보에도 유능한, 실력 있는 정당이 돼서 국민의 선택을 받겠다”고 했다. “유능한 경제정당은 정책뿐만 아니라 결국 사람으로 인정받는 것”이라며 인재 영입에 집중할 것을 시사했다.
문 대표의 이 같은 스탠스는 당을 총선체제로 서둘러 전환시키겠다는 의도로 여겨진다. 안 의원이 던진 ‘조기 전대론’ 카드를 일축한 뒤 총선기획단과 정책공약준비단을 즉시 꾸릴 것을 지시한 것과도 일맥상통한다. 한 당직자는 “문 대표가 당의 총선 정책이 준비될 경우 즉시 발표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전했다.
문 대표는 안 의원의 기자회견에 대해서는 입을 열지 않았다. 취재진의 질문공세에도 “(그 얘기는) 오늘 제가 하지 않겠다”고만 답했다. 자신의 행보가 묻힐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표를 중심으로 한 혁신·공천 드라이브도 가속화될 전망이다. 새정치연합은 안 의원 혁신안을 당헌·당규에 반영하기 위한 당무위원회와 중앙위원회를 각각 오는 9일, 14일 소집하기로 했다. 구성 시한을 이미 넘겨버린 공직선거후보자검증위원회와 시한이 열흘 앞으로 다가온 전략공천관리위원회의 위원장 인선 문제도 조만간 결론 낼 방침이다.
문 대표가 속도전을 이어갈 경우 안 의원과 비주류가 결집할 시간은 그만큼 줄어든다. 비주류는 당무위·중앙위에서 안철수 혁신안 관철을 눈뜨고 지켜볼 수밖에 없게 된다. 공천 기구가 꾸려진 뒤에는 내년 공천을 의식한 현역 의원들이 대거 나서기도 쉽지 않다.
문 대표가 안 의원의 탈당 기류를 의식해 조기 전대 제안을 수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주류 측에서는 “혁신 드라이브를 걸겠다는데 안 의원에게 탈당할 수 있는 명분이 있겠느냐”는 반응이 나온다. 문 대표 측 관계자는 “새로운 제안이 없다면 이대로 가야 한다. 공천기구 인선을 곧 시작할 것”이라고 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관련기사 보기]
文은 정면돌파 전략… 당을 총선체제로 전환 혁신·공천 드라이브 가속화
입력 2015-12-06 2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