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부터 예비후보 등록하는데… ‘선거구 협상’ 또 결렬

입력 2015-12-06 22:17 수정 2015-12-07 01:02
새누리당 지도부가 6일 서울의 한 식당에서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처리 등을 자축하는 만찬을 갖고 공천 룰에 대해 협의하고 있다. 이인제 서청원 최고위원, 김무성 대표, 김태호 최고위원, 김정훈 정책위의장, 김을동 최고위원, 원유철 원내대표, 이정현 최고위원. 원유철 원내대표 페이스북

내년 총선 예비후보 등록을 코앞에 뒀지만 여야는 총선의 ‘기본 룰’인 선거구 획정에 대한 합의점을 찾지 못한 채 제자리걸음만 하고 있다. 여전히 야당은 비례대표 의석수와 지역구 의석수를 연동시키자고 하고, 여당은 수용불가 원칙만 밝히고 있다. 선거구 획정 논의가 지지부진해지면서 ‘현역 의원 기득권 지키기’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더욱 거세지는 형국이다.

◇머리 맞댄 여야 지도부, 평행선만 달려=새누리당 김무성,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와 새누리당 원유철, 새정치연합 이종걸 원내대표는 6일 오후 국회 귀빈식당에서 만나 선거구 획정 문제를 논의했다. 하지만 서로 입장차만 확인한 채 20여분 만에 회의를 끝냈다. 다음 협상 일정도 잡지 못했다.

새누리당은 권역별 비례대표제뿐 아니라 정당득표율에 따라 확보 가능한 비례대표 의석수의 과반을 보장토록 한 이병석 정치개혁특별위원장의 중재안과 야당 요구를 다 거부했다. 의원 정수(300명)를 유지하면서 농어촌 지역구 감소를 최소화하는 방법은 지역구 의석수 확대 및 비례대표 의석 축소뿐이라는 입장이다. 이에 야당이 동의하지 않을 경우 현행 비율(지역구 246석·비례대표 54석)을 유지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김 대표는 회동 후 “현재 권력구조가 변하지 않는 상황에서 이것(야당 제안)을 논의하는 건 논리에 맞지 않는다”며 “(야당 안을) 못 받으니 새로운 제안을 하지 않겠다. 현행대로 선거구를 획정하자고 했다”고 전했다. 원 원내대표는 “선거구 획정과는 거리가 먼 선거제도에 대해 (야당이) 자꾸 들고 나온다”며 “선거권 연령을 낮추는 것이라든지, 투표시간을 연장하자는 주장은 받을 수 없다”고 했다.

반면 새정치연합은 사표 방지와 지역주의 구도 완화를 위한 비례대표 의석수 확대나 ‘이병석 중재안’ 도입 등 비례대표제 취지를 살릴 수 있는 방안을 거듭 요구했다. 문 대표는 “(여당이) 변화된 것을 가져오지 않으면 만나봐야 소용이 없는 상황”이라며 “여당의 책임”이라고 했다. 이 원내대표도 “우리는 안을 다 내놨는데 그게 여당의 반대에 부딪혔다”면서 “여당이 (대안을) 내놔야 한다”고 했다.

여야 협상은 지난 3일 여야 지도부 회동에서 한 발도 더 나아가지 못했다. 당시 농어촌 지역구 의석 감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현재 246개인 지역구 수를 7석 늘리는 대신 그만큼 비례대표 의석수를 줄이는 안으로 좁혀졌었다.

◇발 묶인 정치 신인·원외 출마 도전자들, 불만 고조=선거구가 어떻게 정해질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선거운동에 제약을 받는 정치 신인이나 원외 출마 도전자들은 발만 동동 구르는 모양새다. 이들은 “의정보고서나 ‘민원의 날’ 행사를 통해 지역 주민들과의 스킨십을 합법적으로 가질 수 있는 현역 의원들에게 밀릴 수밖에 없는 ‘불공정 게임’”이라고 불만을 터뜨렸다.

헌법재판소가 현행 선거구 간 인구 편차를 ‘2대 1’로 조정하라고 한 시한인 오는 12월 31일까지 선거구 획정이 이뤄지지 않으면 ‘선거구 공백’ 사태가 초래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비후보 등록이 무효가 되는 만큼 선거사무소를 열거나 명함 등 홍보물을 돌릴 수도 없게 된다. 새정치연합 원외 당협위원장 128명은 지난달 30일 성명을 내고 조속한 선거구 획정을 요구한 바 있다.

김경택 고승혁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