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내 공천 ‘룰’ 논의가 이번 주 본격화할 전망이다. 새누리당은 20대 총선 공천 룰 논의를 위한 특별기구를 일단 7일 출범키로 하고, 위원장에 황진하 사무총장을 내정한 것으로 6일 전해졌다.
김무성 대표, 원유철 원내대표, 서청원 김태호 이인제 김을동 이정현 최고위원과 김정훈 정책위의장 등 최고위원 전원은 이날 오후 서울의 한 음식점에서 만찬 회동을 열고 공천 관련 논의를 했다고 복수의 참석자들이 전했다. 새누리당 지도부는 공천 방식을 결정할 당내 특별기구 구성을 비롯해 갈등의 핵심인 국민·당원 여론조사 반영비율 등을 이젠 매듭지어야 한다는 데 공감하고 핵심 의제 등에 대한 입장을 조율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고위는 당초 특별기구 구성을 김 대표와 원 원내대표, 서 최고위원에게 위임했지만 ‘3인 회동’에서 별다른 해법을 내놓지 못했다.
지도부는 ‘후보자 경선 과정에서 결선투표를 도입하는 방안’ ‘현행 50대 50 비율인 당원과 일반 국민의 후보자 선출 참여에서 국민 비율을 조금 높이는 방향’ 등에 어느 정도 의견 접근을 이뤘다고 한다. 구체적인 수치는 공천특별기구에서 결정한다는 계획이다.
위원장의 경우 김 대표 측 의견이 어느 정도 받아들여진 것으로 보인다. 당초 친박(친박근혜)계는 황 사무총장이 특별기구 위원장을 맡는 데 반대해 왔다. 김 대표가 결선투표 도입을 인정하면서 절충점을 찾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당원과 일반 국민 참여비율을 놓고는 여전히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김 대표 측은 새누리당이 당론 채택한 ‘상향식 공천’의 취지를 살리려면 일반 국민 참여비율을 일정부분 높여야 하지 않겠느냐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천특별기구 출범이 가시화됐지만 갈등의 여지는 여전히 많다. 전략공천의 범위나 공천관리위원회 구성 등 난제가 남아 있기 때문이다. 9일 예정된 친박 의원 모임인 ‘국가경쟁력강화포럼’의 송년회도 중요 변수다. 이 자리에서 “공천권을 내려놓겠다”고 약속한 김 대표를 겨냥한 작심 발언이 쏟아져 나올 수 있어서다. 1년 전인 지난해 12월 30일 송년모임에서도 김 대표가 당을 독단적으로 운영하고 있다는 정면 비판이 나왔다. 포럼 소속 한 의원은 6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공천 문제뿐 아니라 최근 당 지도부의 대야 협상을 보면서 답답해하는 의원들이 많다”며 “이런 문제를 허심탄회하게 얘기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했다. 이번 포럼이 ‘친박 실세’인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여의도 복귀와 맞물릴 경우 파장은 더 커질 수 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與 공천특별기구 오늘 출범 예정… 지도부, 결선투표 도입·국민참여비율 상향 공감대
입력 2015-12-06 22:18 수정 2015-12-07 0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