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5 집회 긴장 고조] 與 “불법·폭력시위 엄단”… 野 “경찰 과잉진압 자제”

입력 2015-12-04 21:18

하루 앞으로 다가온 2차 민중총궐기 집회에 대한 여야의 시선은 엇갈렸다. 양측 모두 불법 폭력시위나 복면시위에 대한 부정적 여론을 감안해 평화집회를 촉구했다. 그러나 새누리당은 불법 폭력시위에 대한 사법 당국의 엄단을, 새정치민주연합은 평화집회 보장을 위한 경찰의 과잉진압 자제를 강조했다.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는 4일 원내대책회의에서 “내일 집회 소식에 누구보다 마음 졸이며 걱정하실 분들이 바로 의경들의 어머니와 아버지”라며 “의경도 누군가의 귀한 아들이자 가족이다. 폭력이 난무하는 시위가 또다시 재발돼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황진하 사무총장도 “집회 세력이 지난 불법·폭력 행위에 대한 반성 없이 또다시 법과 공권력을 조롱하려 든다면 비판을 면치 못할 것”이라며 “경찰은 뒤에서 선동 조종하는 세력까지 철저히 조사해 불법의 악순환이 생기지 않도록 끌어내야 한다”고 말했다.

황교안 국무총리도 국방대학교 안보과정 졸업식 축사에서 “최근 많은 국민들이 크게 우려하고 있는 일부의 폭력·불법 시위는 법질서 확립 차원에서 반드시 근절돼야 한다”며 엄정 대응방침을 재차 강조했다.

새정치연합은 평화집회를 강조하면서도 경찰의 과잉대응 자제를 촉구했다. 문재인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집회 주최 측을 향해 “폭력은 어떤 이유에서도 정당화될 수 없다. 독재화된 권력에 시민이 보여줄 수 있는 가장 성숙한 힘은 평화”라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가 할 일은 집회 참여의 원천봉쇄가 아니라 평화집회가 될 수 있게 보장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수 대변인은 “평화로운 집회를 위해 주최 측이 최선을 다해야 하고, 경찰은 과잉대응을 자제하고 차벽과 물대포가 없는 평화집회를 보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야당은 집회현장에서 ‘평화감시단’ 활동을 하기로 했다.

한편 한국갤럽은 우리 국민 10명 중 6명이 집회·시위 때 복면 착용을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갤럽이 지난 1∼3일 1005명을 대상으로 한 전화 여론조사 결과(표본오차 95%, 신뢰수준 ±3.1% 포인트) 새누리당이 발의한 일명 ‘복면착용금지법’에 대한 찬성 의견이 60%로 반대 의견(32%)의 배 수준으로 나타났다. 8%는 답변을 유보했다.

새정치연합이 발의한 ‘차벽사용금지법’에 대해서도 찬성 응답이 48%로 반대(42%)를 앞섰다. 특히 복면착용금지법 찬성자(607명) 중 48%는 경찰의 차벽 사용도 반대했다. 거꾸로 차벽사용금지법 찬성자(479명) 중 60%는 시위대의 복면 착용 금지도 찬성했다. 이는 지난 1차 궐기 관련 여론조사 때 집회 시위가 과격했다고 응답한 사람(589명) 중 41%가 경찰도 과잉 진압했다고 답한 것과 비슷한 양상이다.

한국갤럽은 “진영논리를 떠나 집회 참가자들에게는 비폭력 시위를, 경찰에게는 과잉진압 논란 없는 대응을 바란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