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비례대표 줄여 농어촌 지역구 유지한다

입력 2015-12-03 21:44
여야가 비례대표 수를 줄여 농어촌 지역구 수를 최대한 유지하는 방식의 선거구 획정 방식에 공감대를 이뤘다. 그러나 비례대표의 대표성 확보 방안을 놓고 여전히 이견차가 커 ‘깜깜이 총선룰’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원유철 원내대표는 3일 정의화 국회의장 중재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와 이종걸 원내대표를 만나 선거구 획정 문제를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여야는 의원 정수를 현행 300명으로 유지하고 지역구를 늘려 농어촌 지역구를 최대한 유지하는 방향으로 선거구 획정안을 만드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새정치연합은 새누리당이 비례대표의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준다면 비례대표 수를 줄일 수 있다며 전향적인 의견을 내놨다고 한다. 현재 246개인 지역구 수를 7개 안팎으로 늘리고 그만큼 비례대표 의석을 줄이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야당은 대신 정당득표율에 따라 확보 가능한 비례대표 의석수의 과반을 보장하도록 한 이병석 정치개혁특별위원장 제안을 새누리당이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표는 회동 후 기자들과 만나 “새누리당만 결단하면 문제가 풀릴 수 있는 상황에 와 있다”며 “새누리당이 중재안에 대해 더 검토해보겠다는 입장을 표명한 만큼 기대를 걸어보겠다”고 촉구했다.

그러나 여당 내부에선 권역별 비례대표제 성격이 있는 이 위원장의 안을 그대로 받아들이기는 어렵다는 분위기가 강하다. 지난달 13일 여야 지도부 협상결렬 상태에서 별다른 진전이 없는 셈이다. 새누리당은 일단 5일 야당 지도부를 다시 만나 담판을 시도하기로 했다.

새누리당은 총선 출마 예상자의 예비후보 등록 시작일(15일)이 코앞으로 다가온 만큼 공천방식 등 선거룰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그러나 위원장 선임 문제 등으로 촉발된 계파 갈등도 완전히 해소하지 못한 상태여서 공천룰 관련 특별기구 출항일도 가늠하기 어려운 상태다.

박근혜 대통령이 내준 노동개혁 5법 ‘숙제’를 처리해야 하는 지도부의 마음은 조급하다. 특히 국회의원들은 이미 총선 모드로 전환해 지역 현안 챙기기에 바쁘고, 지도부는 당장 선거구 획정 등 총선룰 협상을 마무리해야 해 중점법안 처리에 당력을 집중하기도 어려운 상태이기 때문이다. 현역 의원들은 이미 연말 스케줄을 지역구 행사로 꽉 채운 상태라고 한다. 한 의원은 “지도부에 대한 정치신인들의 불만이 엄청나다”며 “상향식 공천을 위해서는 특단의 대책이 빨리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협상 파트너인 야당 지도부가 ‘여당에 너무 내줬다’는 내부 불만에 직면한 것도 선거구 획정이나 중점법안 협상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이 원내대표는 “2016년 예산을 처리하면서 1교시를 치른 수험생과 같은 심정으로, 예상했던 것보다 문제는 좀 난해했고 목표는 달성하지 못했다”며 “그러나 2, 3, 4교시가 남아 있다. 남은 시간은 다를 것”이라고 반성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