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3일 안철수 의원이 제안한 조기 전당대회에 대해 “사생결단 분열의 전대가 될 수밖에 없다”며 공식 거부했다. 대표직 유지 의사를 밝히며 “더 근본적인 혁신들을 제 책임으로 해나가겠다”고도 밝혔다. 문 대표가 안 의원이 유일한 당 혁신 방안으로 제안한 전대를 거절하면서 주류·비주류 간 당내 분열이 회복불능 상태로 치닫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문 대표는 국회 당대표실에서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고 “전대는 안 된다는 것이 제 생각”이라며 “저의 제안은 협력하자는 것인데, 전대는 대결하자는 것이다. 제 제안은 혁신과 단합을 위해 함께 힘을 합치자는 것인데, 전대는 너냐 나냐 한 명 선택하자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물리적으로도 시간이 부족하고 총선을 코앞에 두고 당권 경쟁으로 날을 새울 수 없다”고 했다. 문 대표는 또 “제게 당대표직을 사퇴한 후 다시 전대에 나서라는 것도 상식적이지 않다”며 절차적 문제까지 지적했다.
문 대표는 “더 이상 좌고우면하지 않고 제 책임으로 총선을 준비해 나가겠다”며 “또 이른 시일 내에 총선기획단, 총선정책공약준비단, 호남특위, 인재영입위, 선대위 등을 순차적으로 구성해 총선 체제에 돌입하겠다”고 했다. 그는 “이제 이 지긋지긋한 상황을 끝내려 한다”며 “국민들은 우리 당의 상황에 진저리를 치고 있다”고도 했다.
비주류 진영을 향해 경고 메시지도 보냈다. 문 대표는 “당을 흔들고 해치는 일들도 그냥 넘기지 않겠다”며 “당의 화합을 위해 용인해야 할 경계를 분명히 하고, 그 경계를 넘는 일에 대해선 정면대응해 당의 기강을 세우겠다”고 했다.
문 대표는 기자간담회 직후 시집 강매 논란에 휩싸인 최측근 노영민 의원과 아들 로스쿨 졸업시험 압력 논란을 일으킨 신기남 의원, 당무감사를 거부하고 있는 비주류 측 유성엽 황주홍 의원에 대한 단호한 조치를 지시했다. 또 투자 업체로부터 거액을 받은 김창호 전 경기도 분당갑 위원장에 대해 출당조치 등 강력한 대응을 주문했다. 문 대표는 “이른바 친노(친노무현)든 친문(친문재인)이든 비주류든 원칙 앞에 예외는 없다”고 강조했다.
문 대표는 조기 전대 개최 거부 입장을 일찍 정한 뒤 발표 날짜를 고민했다고 한다. 결국 예산안이 통과된 이날 오전 기자회견을 하기로 확정했다. 원고도 직접 썼다. 문 대표가 거부 입장을 발표하기 전 문희상 전 비대위원장 등 당 중진들이 공동선대위 체제, 비상대책위원회 등으로 중재에 나섰지만 실패했다고 한다. 문 대표 측은 “당내 다양한 의견을 듣고 중진들도 만났는데 결국 중진들이 명확한 중재안을 제시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당내에서는 분열 위기가 정점을 찍었다며 걱정하는 목소리가 많다. 당 핵심 관계자는 “문 대표가 총선까지 혼자 갈 수 없으니 안 의원에게 손을 내민 것 아니냐”며 “국민은 문·안이 함께 가라는 것인데 각자 ‘마이웨이’를 선언하면서 당내 갈등이 악화될 것 같아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임성수 문동성 기자 joylss@kmib.co.kr
文, ‘전대’-安제안 거부… “좌고우면 않고 총선체제로”
입력 2015-12-03 2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