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국회의 내년도 예산안 처리,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처리가 마무리됨에 따라 다음주 중 장관 5명 안팎을 교체하는 ‘중폭 개각’을 단행할 것으로 3일 알려졌다.
체코를 방문 중인 박 대통령은 한·비세그라드그룹 정상회의 일정을 마치고 5일 귀국한다. 따라서 개각 시점은 이르면 내주 초, 늦어도 정기국회가 끝나는 오는 9일쯤 될 것으로 예상된다.
내주 중 교체될 것으로 예상되는 장관은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비롯해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정종섭 행정자치부 장관,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김희정 여성가족부 장관 등이다. 현역의원인 최 부총리와 황 부총리, 김 장관은 오래전부터 새누리당 복귀 의사를 밝혀 왔다. 최 부총리는 당 복귀시점에 대해 “내년도 예산안 처리 후”라고 말했었다.
박 대통령은 내년 4월 총선출마를 희망하는 장관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분 개각을 지난달 초 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정기국회 내 한·중 FTA, 예산안 처리 등에 집중하기 위해 일단 미뤘다. 일부 노동개혁 관련 법안과 경제활성화 법안 등이 정기국회에서 처리되진 못했지만 한·중 FTA 비준동의안과 내년도 예산안 및 부수법안 등 핵심 현안이 어느 정도 정리돼 다시 개각을 공론화할 분위기는 조성됐다고 보기 때문이다. 또 내년 총선을 앞둔 장관들의 총선 예비후보 등록일, 공직사퇴 시한과 후임 장관들의 인사청문 절차 등을 고려하면 이들의 교체를 마냥 미룰 수도 없다는 게 청와대 분위기다.
차기 경제팀을 이끌 경제부총리에는 청와대의 현정택 정책조정수석과 안종범 경제수석, 신제윤 전 금융위원장, 임종룡 금융위원장 등이 거명되고 있다. 황 부총리 후임으로는 임덕호 전 한양대 총장, 이준식 전 서울대 부총장 등이 하마평에 오르내리고 있다.
행정자치부 장관과 여성가족부 장관에는 각각 홍윤식 전 국무조정실 1차장과 새누리당 비례대표인 강은희 의원 등이 거론되고 있다.
한편 청와대는 국회가 내년도 예산안과 함께 경제활성화법 일부만 처리하고 노동개혁 관련 법안 역시 정기국회 처리가 무산된 데 대해 아쉬움을 보였다. 청와대 관계자는 3일 “남은 법안 중 가장 큰 것이 노동개혁 관계법인데 빨리 논의를 시작해 연내에 반드시 처리돼야 한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앞으로 노동개혁 필요성을 계속 부각시키면서 여야 정치권에 대한 압박 강도를 높여갈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 역시 체코에서 수시로 국회의 예산·법안 논의 동향을 보고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프라하=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이르면 내주 초 장관 5명 교체 ‘중폭 개각’
입력 2015-12-03 2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