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해수담수화 수돗물 연내 식수 공급… 환경단체 반발 불구 기장군·해운대구 일부에 공급 강행

입력 2015-12-03 19:56
부산시는 해수담수화 시설에서 생산한 수돗물을 올해 안에 기장군과 해운대구 일부지역에 공급할 방침이다. 사진은 부산 기장군 대변리에 건설된 해수담수화 시설. 연합뉴스

부산시가 해수담수화를 통해 생산한 수돗물을 연말부터 시내 일부 지역 주민들에게 공급키로 했다. 그러나 해당 지역 주민들은 담수화 시설이 원전과 멀리 떨어져 있지 않다는 이유로 수돗물 공급을 반대하고 있다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는 기장군 대변리에 건설된 해수담수화 시설을 통해 연말부터 기장군과 해운대구 일부지역에 수돗물을 공급할 방침이라고 3일 밝혔다.

이미 마라도를 비롯한 전국 100여 곳 도서지역에서는 소규모의 해수담수화 시설을 통해 10∼50가구에 식수를 공급하고 있지만 도심의 대규모 수돗물 공급은 부산이 전국 처음이다.

해수담수화 수돗물이 공급되는 지역은 기장군 기장읍·장안읍·일광면과 해운대구 송정동 일부 지역이다.

상수도사업본부는 하루 2만3000t의 해수담수화 수돗물을 생산해 이들 지역 5만400가구(11만6000여명)에 공급할 방침이다.

상수도사업본부 관계자는 “환경단체와 일부 주민들이 걱정한 안전성 문제가 해소된 만큼 1년이나 미뤄온 수돗물 공급을 더는 늦출 수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환경단체가 그동안 공급 반대 논리로 주장한 삼중수소 문제 등은 1년 동안 미국국제위생재단(NSF) 등 권위 있는 기관에서 79차례 수질검사를 했지만 한번도 검출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지역 환경단체와 기장군 주민들은 “주민 동의 없는 일방적인 해수담수화 수돗물 공급은 인정할 수 없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기장해수담수화 반대주민대책위 관계자는 “세계 어느 곳에서도 원전 10㎞ 인근에 해수담수화 시설을 두고 식수를 공급하는 사례는 없다”며 “헌법상 행복추구권을 침해하며 원하지도 않은 물을 공급하는 것은 또 다른 폭력과 다름없다”고 주장했다.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광주과학기술원, 두산중공업 등이 국·시비와 민자 등 1954억원을 들여 지난해 12월 완공한 해수담수화 시설은 역삼투압 방식으로 하루 4만5000t의 수돗물을 생산할 수 있다.

원수는 대변리 앞 바닷가에서 330∼400m 떨어진 지점의 수심 10∼15m 깊이의 중층수를 사용한다.

이 물은 각종 부유물을 거르는 전처리단계에 이어 역삼투막을 통과하는 정수 과정을 거친다. 기존의 증발식이 아니라 역삼투압 방식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다.

상수도사업본부는 완공 직후 수돗물을 공급하려 했지만 삼중수소 문제가 불거지면서 지난 1년여 동안 미뤄왔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