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야당 기득권에 취했나… 잇단 ‘의원 甲질’에 뒤숭숭

입력 2015-12-01 21:54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들의 ‘갑질’과 특권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신기남 의원의 ‘로스쿨 졸업시험 낙제 아들 구제 시도’ 논란에 이어 노영민 의원의 ‘카드결제 단말기 시집 판매’ 문제가 불거졌기 때문이다. 잊을 만하면 추문이 이어지자, 제1야당의 기득권에 취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새정치연합은 1일 국회 산업통산자원위원장인 노 의원이 산자위 산하기관에 자신의 시집을 판매했다는 논란으로 뒤숭숭했다. 특히 노 의원이 자신의 의원회관 사무실에 시집 판매를 위해 카드결제 단말기까지 설치한 것을 두고선 당내에서조차 비난여론이 적지 않았다.

지도부는 당혹해하는 모습이다. 문재인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사실관계는 잘 모르겠다”며 “아마 출판사 단말기를 사용했다는 거고, 기관에서 결제한 돈은 꽤 오래전에 돌려줬다는 건데, 그렇다 해도 의원들이 도덕성이나 윤리 문제에 더 각별히 국민 눈높이에 맞게 처신을 조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노 의원은 문 대표의 최측근이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당 자체 조치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논란이 확산되자 노 의원은 당 당무감사원에 감사를 청구했다.

불과 며칠 전인 지난달 26일에는 중진인 신기남 의원이 사립대 로스쿨 졸업시험에 낙방한 아들을 구제하기 위해 해당 학교를 찾아가 압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에 휘말렸다. 신 의원은 검찰에 고발까지 당했다. 현재 당무감사원은 신 의원에 대해서도 조사를 진행 중이다.

지난 8월에도 윤후덕 의원이 자신의 딸이 2013년 한 기업의 경력 변호사 채용에 합격하는 과정에서 회사 측에 전화를 걸어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이 사건은 문 대표가 당 윤리심판원에 직권조사를 요청했지만 심판원은 징계시한이 지났다며 아무 징계도 하지 않았다.

당내 부패척결을 강조해온 안철수 의원은 이번 사건에 대해 “당 윤리심판원이 제대로 개혁돼야 한다. 개혁된 윤리심판원에서 다루는 게 맞는다”며 엄정한 대응을 요구했다. 다른 당직자도 “끼리끼리 온정주의가 만연해 도덕적 해이가 발생하고 있다. 국민들의 박탈감이 크다”며 “지위를 이용한 갑질은 일벌백계해야 한다”고 했다.

갑질 논란에 휩싸인 의원들이 대부분 ‘친문(친문재인)계’ 인사로 분류되는 것도 ‘혁신’을 강조해온 문 대표 입장에선 당혹스러운 부분이다. 금태섭 전 당 대변인은 페이스북에 “자기편에 대해 철저하고 엄정한 모습을 보인다면 문 대표 개인으로서는 문·안·박(문재인·안철수·박원순) 연대를 제안했던 일의 진정성을 인정받게 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