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의원은 29일 조기 전당대회 개최를 역제안하면서 당 지도부 재편의 공을 다시 문재인 대표에게 넘겼다. 문 대표의 문·안·박(문재인·안철수·박원순) 연대 제의를 거부하며 문 대표 사퇴가 선행돼야 하는 전대 카드로 반격에 나선 것이다. 문 대표는 유보적 입장을 밝히고 숙고에 들어갔다. 전대 개최를 두고 주류·비주류 간 의견도 엇갈려 양측 사이에 세 대결이 벌어질 전망이다.
◇安의 역공, 文의 고심=안 의원은 조기 전대 개최를 제안하면서 자신과 문 대표 모두 출마하자고 했다. 당권 도전을 공식화하면서 정면대결 의사를 밝힌 것이다. 안 의원은 “혁신의 구체적인 내용과 정권교체의 비전을 가지고 경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논란이 된 기존 혁신안을 재평가하겠다는 뜻이다. 안 대표는 “이 방법(전대)만이 문제 해결을 위한 최선의 안이라고 생각한다”며 단호한 입장을 피력했다.
반면 문 대표는 즉답을 피하는 대신 문·안·박 연대 불발에 대한 아쉬움을 나타냈다. 그는 기자들과 만나 “문·안·박 연대는 지금 우리 당에 꼭 필요한 혁신과 단합을 이루기 위해 가장 현실적인 방안”이라고 했다. 문 대표는 대표직 유지, 전대 수용 후 재출마, 당대표 전격 사퇴 등을 두고 고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 대표 측에서는 일단 전대에 부정적 의견이 다수다. 한 관계자는 “전날 (문·안) 회동에서도 안 의원이 전대 이야기는 하지 않았다”며 “공천권이 걸린 지도부 선출인데 공천권 싸움이 되지 않겠느냐는 쪽으로 (전대에 부정적인) 당내 공론이 모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도 “당내 통합으로 이어지기보다 분열이 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주류 ‘대결하자는 것’ VS 비주류, ‘전대 밖에 해법 없다’=주류 측은 전대가 당내 분열상만 노출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한 의원은 “안 의원 제안은 ‘단합’이 아니라 ‘대결’을 하자는 이야기”라며 “총선을 코앞에 두고 다시 한번 ‘문이냐, 안이냐’ 진검승부를 펼쳐보자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전병헌 최고위원도 “당내 의견이 모아지는 과정이 필요하다”면서도 “현실적으로 ‘분열 전당대회’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당 시·도지사 정책협의회에 참석했던 안희정 충남지사가 “전당대회 의결을 뛰어넘을 권리는 그 누구에게도 없다. 만약에 시도한다면 그것을 우리는 쿠데타라 한다”고 말한 것도 지난 2월 전대로 선출된 문 대표를 옹호하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문·안 협력을 강조해온 중도 성향의 한 의원은 “최근 문 대표를 만났는데 경선을 해야 하는 전당대회에 대해서는 네거티브(부정적)하더라”고 전했다.
반면 비주류 진영에서는 전대를 대안으로 보고 있다. 주승용 최고위원은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혁신 전대는 흔들리는 호남 민심을 잡을 현실적인 방안”이라며 “당 지도자들이 혁신과 통합을 위해 선의의 경쟁을 펼치고, 그 결과에 승복함으로써 분란을 종식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했다. 박지원 의원도 “백지상태에서 다시 시작해야 한다는 안 의원의 고언은 당에 마지막 희망과 애정을 가진 분들의 소리 없는 절규”라고 거들었다.
민집모(민주당 집권을 위한 모임) 소속 문병호 의원은 “박근혜정부에 반대하는 모든 세력이 대통합을 해야 한다”며 “해법은 전대밖에 없다”고 했다. 앞서 김한길 박영선 의원 등도 ‘통합’을 강조하며 전당대회 개최에 힘을 실은 바 있다.
임성수 고승혁 기자
joylss@kmib.co.kr
[관련기사 보기]
[새정치 중대 기로] 안철수의 역공… 문재인과 정면대결 승부수
입력 2015-11-29 21:02 수정 2015-11-30 0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