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세계경기 둔화의 영향으로 한국 무역 규모는 2011년 이후 처음으로 1조 달러 달성에 실패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다만 내년에는 무역 규모 1조 달러를 회복할 것으로 예측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29일 발표한 ‘2015년 수출입 평가 및 2016년 전망’ 보고서를 통해 올해 수출은 2014년보다 7.1% 떨어진 5320억 달러, 수입은 16.3% 하락한 4400억 달러로 총 교역 규모는 9720억 달러에 그칠 것으로 추정했다. 세계경기 둔화와 산업구조 변화, 국제유가 하락 등으로 세계 무역이 10% 이상 감소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수출과 수입도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특히 올해 들어 국제유가가 약 50% 하락하면서 10월까지 석유화학, 석유제품 등 원유 관련 제품의 무역 감소액이 863억 달러(수출 252억 달러, 수입 611억 달러)나 됐다. 이는 전년 대비 전체 무역 규모 감소분(1093억 달러)의 79.0%를 차지하는 규모다.
그러나 내년에는 선진국의 경기 회복, 저유가 지속에 따른 소비심리 회복 등으로 수출은 2.3% 증가한 5440억 달러, 수입은 4.8% 늘어난 4610억 달러로 무역 규모는 1조50억 달러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도 무역수지는 830억 달러 흑자를 기록해 호조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인호 한국무역협회장은 27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제52회 무역의 날’(12월 5일) 기념 간담회를 갖고 수출 분야 어려움 극복 방안에 대해 “기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우리 경제 구조가 자유화, 유연화되면서 불필요한 구조가 최소화돼야 한다”며 “이런 쪽으로 가야 우리 기업을 살리고 장기적으로 수출 회복을 끌어낼 수 있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또 국내 주력 산업인 조선, 해운, 철강, 석유 분야 등이 일제히 어려움을 겪는 것과 관련해서도 “무조건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불황이 돼야 비로소 스스로를 돌아보고 기업의 군살을 빼면서 불합리한 부분을 고쳐나갈 수 있다”며 “구조조정은 사실 연속적인 과정이며 끊임없이 평상시에 진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올 무역 ‘1조 달러’ 달성 실패할 듯… 貿協, 저유가·불경기 등 영향
입력 2015-11-29 2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