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전체 부부 10쌍 중 4쌍 이상이 맞벌이를 하고 있으며, 맞벌이 부부의 소득은 홑벌이 부부보다 1.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경제연구원 김천구 선임연구원이 29일 발표한 ‘맞벌이 가구 현황과 소비 특성’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맞벌이 부부는 502만8000가구로 집계됐다. 전체 부부 중 맞벌이 비중은 2006년 39.1%에서 2010년 41.4%로 늘었고, 작년에는 41.7%를 기록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김 연구원은 통계청의 ‘2014년 연간 가계동향 조사’ 결과를 분석했다. 맞벌이 부부의 월평균 소득은 532만6000원으로 홑벌이 부부 월평균 소득 380만원의 1.4배 수준이었다. 월평균 지출은 맞벌이 부부(294만3000원)가 홑벌이 부부(239만5000원)보다 54만8000원 많았다.
맞벌이 부부와 홑벌이 부부는 소비 패턴 차이도 뚜렷했다. 맞벌이 부부는 전체 지출의 13.2%를 자녀 교육비에 투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홑벌이 부부의 10.3%보다 2.9% 포인트 높은 수치다. 오락·문화비에선 홑벌이 부부의 지출 비중이 5.8%로 맞벌이 부부의 5.2%보다 높았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맞벌이, 10쌍중 4쌍 한달 소득 ‘532만원’… 현대경제硏 보고서
입력 2015-11-29 2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