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이 다음달 11일 당국회담을 열기로 합의함에 따라 반기문(얼굴) 유엔 사무총장의 평양 방문 논의도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북한의 최근 적극적인 대외 공세와 남북 당국회담, 반 총장 방북 등 일련의 호재들이 과연 선순환을 이루게 될지에 관심이 쏠린다.
당국회담 개최가 우여곡절 끝에 성사되면서 ‘8·25 합의’로 마련된 남북관계 개선 흐름은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그 모멘텀이 언제까지 지속될지는 불투명하다. 지난 8월 고위급 접촉 이후 3개월간 남북은 당국회담 개최를 놓고 신경전을 벌여 왔으며, 지난 26일 실무접촉 때도 당국회담 논의가 3개월간 지지부진했던 이유를 두고 양측 간 책임 공방이 오간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당국회담 수석대표가 차관급인 데다 의제도 포괄적이어서 과연 의미 있는 성과가 나올지 회의적인 목소리가 잦아들지 않고 있다. 수석대표의 ‘격(格)’을 두고 신경전을 벌이다 회담이 무산됐던 2013년 상황이 재연될 것이라는 우려도 존재한다. 남북이 관계 개선 흐름을 끊지 않도록 ‘봉합’하는 차원에서 당국회담 개최에 합의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런 상황에서 반 총장의 평양 방문이 이뤄진다면 그 자체로 한반도 정세에 큰 파장을 낳을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당국회담이 끝난 뒤인 다음달 중순 이후 반 총장 방북이 성사될 것이라는 관측이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가 류윈산(劉雲山) 중국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과의 면담 이후 대외관계 개선에 적극 공을 들이고 있는 점도 기대감을 키우는 요인이다.
외교가에선 반 총장과 김 제1비서의 회담이 성사될지, 회담이 열린다면 어떤 합의가 도출될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김 제1비서가 반 총장과 정상외교 ‘데뷔전’을 치르면서 대외정책 기조와 관련된 전향적인 메시지를 던질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한 대북 전문가는 “김 제1비서가 어떤 ‘결단’을 대외적으로 알리고자 한다면 남한은 물론 미·중·러 등 개별 국가의 정상과 만난 자리에서는 적절치 않다고 생각할 것”이라면서 “국제기구 수장인 반 총장과 함께하는 편이 북한 입장에서 가장 ‘체면’이 선다”고 말했다.
다만 반 총장 방북을 계기로 비핵화와 인권 문제 등 국제사회의 관심이 집중된 사안에서 획기적인 진전이 이뤄질 가능성은 여전히 낮다. 오히려 북한이 반 총장 방북 계기에 ‘핵·경제 병진 노선’을 포기할 생각이 없음을 분명하게 내비칠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오고 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이슈분석] 반총장, 남북 당국회담 후 방북 가능성… 내달 11일 당국회담 합의
입력 2015-11-29 2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