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의원이 이른바 ‘문·안·박(문재인·안철수·박원순) 연대’를 거부함으로써 문재인 대표 거취를 둘러싼 새정치민주연합의 내홍이 또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안 의원은 29일 기자회견을 열어 “문안박 연대만으로는 우리 당의 활로를 여는데 충분하지 않고, 당의 화합과 당 밖의 통합이 이루어질지도 미지수”라며 “문 대표와 저를 포함한 모든 분이 참여하는 혁신전당대회 개최를 제안한다”고 밝혔다. 전당대회를 통해 혁신의 구체적 내용과 정권교체의 비전을 갖고 경쟁한 뒤 ‘통합적 국민저항체제’를 구축, 천정배 의원 등이 추진하는 신당과 통합을 추진해야 한다는 게 안 의원 주장의 핵심이다.
안 의원 주장대로 지금 새정치연합에 가장 필요한 것은 혁신이다. 그리고 당원이라면 누구나 혁신을 얘기한다. 지금처럼 국민에게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고 계파논리에 함몰되어 있는 한 새정치연합의 미래는 암울하다. 문·안·박 연대는 문 대표 작품이 아니다. 패배주의에 사로잡힌 새정치연합의 체질을 개선하고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통합행동’을 비롯한 중간그룹이 제시한 안이다. 이 안은 대다수의 지지를 받은 이를테면 당의 최대공약수인 셈이다. 이를 문 대표가 받아들여 안 의원과 박원순 서울시장에게 제의한 것이고, 박 시장은 수용했다.
박 시장은 현역 단체장으로 현행법상 지도부 활동에는 별 문제없으나 선거 관련 활동은 불가능하다. 때문에 문·안·박 연대는 ‘문·안 연대’나 마찬가지다. 안 의원이 문 대표 제의를 수용했다면 문 대표에 버금가는 권한을 갖고 혁신을 주도할 수 있다는 말이다. 그런데도 안 의원이 조기 전당대회를 요구한 것은 문 대표를 인정할 수 없다는 얘기로밖에 해석이 안 된다. 이는 문 대표의 재신임을 만장일치로 결의한 당 중앙위원회의 결정에 정면으로 배치될 뿐 아니라 당 대표까지 지낸 책임 있는 정치인의 자세가 아니다. 당내에서 “전당대회 의결을 뒤집으려는 시도는 쿠데타”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는 마당이다.
새정치연합의 내홍은 결국 공천권 다툼이다. 주로 호남 의원들을 중심으로 한 비주류의 문 대표 흔들기는 자신들의 기득권을 인정하라는 요구에 다름 아니다. 문제는 자신들의 밥그릇싸움 때문에 정작 국민 생활과 직결된 민생·경제 현안들이 뒷전으로 밀리고 있다는 사실이다. 통과가 시급한 한·중 FTA(자유무역협정) 비준동의안은 이런저런 조건을 붙여 발목을 잡고 있고, 경제살리기와 관련된 법안들의 처리도 불투명하다.
박근혜정부가 눈에 띄게 잘한 일이 별로 없는데도 새정치연합 지지율이 반등하지 못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국정보다 당을 앞에 두고, 당보다는 계파나 개인을 우선하는 민심과 동떨어진 정치를 하는 야당을 성원할 국민들이 있을 리 만무하다.
[사설] 지도체제 논란으로 날 새는 줄 모르는 새정치연합
입력 2015-11-29 17: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