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해외취업 지원 대책을 단기 과정 중심에서 장기 과정 중심으로 개편한다. 또 국가별·직종별로 차별화된 전략을 세워 청년들의 해외취업을 지원키로 했다. 정부는 이를 통해 2017년까지 해외취업자 수를 연간 1만명까지 늘린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그러나 세계적으로 청년실업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는 상황에서 현실성 낮은 목표라는 지적도 있다.
◇‘청해진 대학’ 최대 2년 지원=고용노동부와 기획재정부는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청년 해외취업 촉진 대책을 확정해 발표했다. 우선 단기 과정 위주의 현 해외취업 지원 대책을 장기 과정 중심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장기 과정 이수자의 경우 질 높은 일자리에 취업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에서다. 고용부 조사 결과 지난해 6개월 이상 해외취업 교육을 받은 청년은 평균 연봉 3400만원의 일자리로 취업한 반면 6개월 미만의 단기 과정을 이수한 청년이 취업한 일자리는 평균 연봉 2100만원 수준이었다.
현재 3∼4개월 단기 교육과정인 K-무브(Move) 스쿨은 6∼12개월 장기 과정으로 재편된다. K-무브 스쿨은 해외취업 지원 사업 중 하나로 일정 기간 교육훈련을 거친 뒤 해외취업을 알선해 주는 프로그램이다. 또 내년부터 새로 도입되는 (가칭) ‘청해진 대학’ 프로그램은 최대 2년간 청년의 해외취업을 지원한다. ‘청년 해외진출’의 앞글자를 따 이름을 지은 청해진 대학은 해외취업을 목적으로 하는 대학이나 학과를 선정해 중장기적으로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내년에 16개 내외의 학과가 선정돼 200여명이 지원받을 예정이다.
정부는 청년들의 취업 진출이 유망한 15개국을 선정해 국가별·직종별 맞춤형 전략을 추진한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미국, 일본 등 선진국 시장은 인력 수요가 상대적으로 많은 정보기술(IT), 치기공 직종 등을 중심으로 취업 전략을 마련키로 했다. 글로벌 기업이 많이 진출한 싱가포르나 홍콩 같은 아시아 지역에서는 보통 1∼2년의 경력이 있어야 취업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해 글로벌 리크루트사와 협력하기로 했다.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신흥국에는 국내 기업의 중간관리자로 청년이 진출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중동의 경우에는 국내 병원·기업의 해외 프로젝트 수주와 연계해 인력 진출을 지원한다.
◇연간 해외취업 1만명 가능할까=정부는 2017년까지 연간 해외취업자 수를 1만명까지 늘린다는 계획을 밝혔다. 고용부가 4500명, 그 외 부처가 2500명, 민간 영역이 3000명의 해외취업자를 양성한다는 목표다.
문제는 현실성 있는 목표냐는 것이다. 고용부가 조사한 결과를 보면 올해 신규 해외취업자는 약 4800명이다. 정부 목표는 이를 배 이상 늘리는 것이다. 이명박정부 당시 해외취업자를 늘린다는 정책을 펼쳤지만 실제로는 양적으로만 늘었을 뿐 청년들을 외국의 질 낮은 일자리로 내몬다는 비판을 받았다. 게다가 청년실업 문제는 한국만이 아니라 전세계의 공통된 문제다. 한국노동연구원에 따르면 2013년 15∼24세를 기준으로 한 실업률은 프랑스 23.9%, 이탈리아 40.0% 수준이었다. 한국 청년이 외국의 질 높은 일자리로 가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고용부 관계자는 이에 대해 “선진국은 자국 노동시장에서 부족한 전문인력을 선별해 유치하는 경향이 강해 틈새 직종을 중심으로 진출한다면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고 설명했다.세종=윤성민 기자
woody@kmib.co.kr
[해외취업 대책] 해외진출 맞춤형 준비… ‘청해진 대학’ 2년 지원
입력 2015-11-27 20:14 수정 2015-11-27 2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