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유경준 통계청장 “통계청-지자체 손바닥 마주쳐 똑소리나는 지역정책 수립 도울 것”

입력 2015-11-29 20:41

“손바닥도 마주쳐야 소리가 나잖아요.”

취임 6개월째를 맞아 지난 27일 정부대전청사에서 만난 유경준(54·사진) 통계청장에게 지역통계 추진 상황을 묻자 나온 말이다. 지역통계는 유 청장이 6개월간 의욕적으로 추진해 온 사업 중 하나다.

그는 “통계의 가치가 높아지면서 통계청이 해야 할 일이 많아졌다”며 “취임하자마자 통계청 조직을 효율적으로 개편했고 지금은 인구 총조사 중”이라고 말했다.

조직 개편을 하면서 통계청은 지방통계청에 5개 지역통계과를 신설, 100여명의 전문 인력을 배치했다. 지역통계의 질을 끌어올리기 위해서였다.

“국가도, 지방정부도 정책을 수립하려면 통계가 필요해요. 학교를 세우고 도로를 건설하려면 각 지역의 상황과 환경을 파악해야 하잖아요.”

그러나 지방자치단체의 지역통계 수준은 참담했다. 상황도 좋지 않았다.

“지방정부는 통계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않았어요. 일부 지자체는 통계 담당 부서는커녕 인력도 없었죠.”

교부금을 타내려고 통계를 부풀리거나 자기 지역에 불리한 것은 숨기기도 했다.

“인구 추계의 경우 16개 시·도와 166개 시·군·구 데이터를 합하니 전국 단위 인구의 두 배 이상 나오기도 했어요. 인구수를 부풀린 거죠. GRDP(지역내총생산)는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지 않아 일부 지역은 나쁘게 나오기도 했습니다.”

유 청장은 지난해부터 진행해오던 지역통계 사업에 속도를 냈다. 첫 번째가 바로 지역통계과 신설이었다. 통계청 전문 인력은 지자체에 통계 관련 노하우를 하나부터 열까지 알려줬다. 유 청장은 지역통계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작업도 착수했다. 지역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통계는 물론 지역별 비교가 가능한 표준화 작업이다.

“이미 2013년 지역사회 지표 매뉴얼을 작성해 지자체에 제공했습니다. 현재 생산 위주의 GRDP는 생산과 분배로 이원화할 계획입니다. 공장과 기업이 많은 울산은 GRDP가 좋지만 관광 사업을 하는 부산은 좋은 데이터가 나올 수 없거든요.”

통계청의 남은 과제는 지자체가 지역통계를 지역 정책 수립에 효과적으로 활용하도록 돕는 것이다.

“통계는 조각입니다. 돌이나 나무를 깎아 작품을 만드는 것처럼 지자체가 통계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작품이 될 수도, 아닐 수도 있어요. 1인 가구가 늘었다는 통계를 보고 소형 주택을 짓는 것과 똑같은 겁니다. 통계청은 지자체가 그 데이터를 활용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입니다.”

지자체를 향한 바람도 잊지 않았다.

그는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에 손발이 맞아야 한다”며 “지자체가 통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나섰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대전=서윤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