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이 다음달 11일 1차 당국회담을 열기로 합의함에 따라 8·25합의를 계기로 마련된 남북관계 개선 흐름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남북은 실무적인 차원부터 단계적으로 관계를 개선하자는 데 어느 정도 공감대를 이룬 것으로 분석된다.
통일부 당국자는 27일 기자들과 만나 “(이번 실무접촉에서) 북측은 당국회담을 실속 있게 열고 싶다는 분위기였다”며 “당국회담 개최가 8·25합의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임을 (북측도) 인정했다”고 말했다.
이번 당국회담에서는 이산가족 전면 생사확인 및 상봉 정례화(우리 측)와 금강산 관광 재개(북측)를 중심으로 교류협력 전반을 다룰 전망이다. 이 당국자는 “북측은 금강산 관광 외에도 체육교류 등 관심사가 많아 보였다”면서 “북한도 우리가 이산가족 등 어떤 현안을 중시하는지 알고 있다”고 말했다.
당국회담 수석대표가 차관급이어서 실질적 성과가 나올 수 있겠느냐는 우려에 대해선 “북측이 부상(차관)급으로 먼저 제안했고, (우리 측도) 생각이 같았다”고 말했다. 장관급 접촉에서 도출된 8·25합의의 후속 조치인 만큼 차관급이 적당하다는 설명이다.
이 당국자는 특히 “회담을 하다가 잘 안될 경우 (격을) 올릴 수도 있으며 이는 그쪽(북측)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당국회담에 진전이 없으면 격을 장관급 이상으로 높이는 선택도 배제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 경우 8·25합의 때처럼 ‘2+2’(남측 청와대 국가안보실장·통일부 장관, 북측 군 총정치국장·통일전선부장) 형식이 복원될 개연성도 없지 않다.
개성이 당국회담 장소로 낙점된 점도 이번 당국회담의 중요성이 떨어지게 한다는 지적이 있다. ‘서울 또는 평양’에서 열기로 했던 8·25합의와는 동떨어진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정부 관계자는 “서울에서 회담하려면 아무리 빨라도 12월 하순에나 가능하다”며 “이번엔 실속을 택했다”고 했다. 공동보도문에 명시된 회담 의제가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현안’이어서 모호하다는 지적에는 “20∼40차 회담까지 열린다고 가정하면 매번 의제는 다르지 않겠느냐”고 했다. 그러면서 “의제는 모든 것을 포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북측은 이번 접촉에서 의제를 더 구체화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우리 측은 포괄적인 게 더 좋다는 논리를 내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는 당국회담 개최 합의에 신중한 반응을 내놨다. 청와대 관계자는 “대화 모멘텀을 살려가는 건 다행”이라면서도 “남북대화에 대한 북한의 진정성을 평가하긴 아직 이르다”고 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南 ‘포괄적’ 北 ‘구체적’… ‘의제 충돌’ 내달 남북회담 성과 나올까
입력 2015-11-27 2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