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청년 해외취업 촉진 대책이 實效 거두려면

입력 2015-11-27 18:08
정부가 27일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청년 해외취업 촉진 대책을 마련했다. 골자는 그간 단순 서비스 분야에 편중됐던 진출 직종을 유망직종·중간관리자·기술인력 등으로 다양화하고, 국가별·직종별로 차별화된 전략을 수립한다는 것이다. 대학 1∼2학년부터 해외 취업을 준비할 수 있도록 최장 2년간 직무와 어학, 문화·생활교육을 실시하는 가칭 ‘청해진(청년 해외진출) 대학’을 내년 상반기 중 10여곳 지정한다는 세부 방안도 확정했다. 정부는 현재 연간 5000명선인 청년 해외취업자를 2017년부터 1만여명으로 늘린다는 방침이다.

체감 청년실업률이 20%를 웃도는 심각한 고용절벽 상황에서 내놓은 정부의 고육지책으로 보인다. ‘고용 없는 성장’이 고착화되는 상황을 감안할 때 청년취업 해법의 하나로 해외로 눈을 돌렸다는 것은 바람직한 판단이다.

보완할 점도 적지 않다. 우선 정부 공언대로 양질의 일자리 확보가 가능하냐는 것이다. 청년들이 선호하는 나라인 미국, 호주, 캐나다, 일본, 독일의 경우 비자발급 요건이나 전문직 쿼터 확보 등이 시급하다. 이들 나라는 최근 IT 관련 기능 인력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구조적 제약이 많다. 범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나서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일부 지방자치단체와 중소기업중앙회 등 이미 청년 해외취업에 성과를 거두고 있거나 관심을 보이는 기관들과 연계하는 방안도 고려해야겠다. 목표치를 정해놓고 매년 일정 인원을 내보낸다는 식의 정책은 지양해야 한다. 해외 취업은 정확한 통계를 내는 것이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간과할 수 없는 것은 청년들의 자세와 사회의 인식이다. 청년들은 철저한 준비와 함께 낯설고 척박한 환경에 도전하겠다는 정신을 지녀야 한다. 일류 대학을 나와 번듯한 대기업에 취업해야 대접을 받는 풍토도 청년들의 해외 진출 의지를 꺾는다. 청년들이 해외로 뻗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모두의 관심이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