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란首都 부산’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진

입력 2015-11-27 05:00
부산시가 ‘피란수도 부산’의 문화유산으로 유네스코 등재를 추진 중인 임시수도기념관. 부산시 제공
정부청사(현 동아대박물관). 부산시 제공
유엔기념공원. 부산시 제공
영도다리. 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광복 70년, 한국전쟁 65년을 맞아 ‘피란수도 부산’의 문화유산에 대한 유네스코 등재를 위해 발벗고 나섰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26일 “피란수도 문화유산의 유네스코 등재는 6·25 한국전쟁 당시 임시수도 부산의 역할을 재조명하고, 다양한 건축·문화자산을 발굴해 글로벌 문화·관광벨트를 조성함으로써 기술과 문화가 공존하는 도시를 창출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시는 부산발전연구소, 학계, 전문가 등과 함께 연말까지 문화유산의 기본발굴조사를 끝낸 뒤 내년까지 타당성 조사 및 분석을 거쳐 유네스코 등재 신청서를 작성하기로 했다. 이어 2017년 2월까지 문화재청을 경유해 유네스코에 공식 신청서를 접수한다는 계획이다.

부산에는 피란수도 시절 입법·사법·행정 등 국가수도 기능을 대체했던 정치·경제·문화·주거·건축 등 국가 규모의 모든 문화유산이 고스란히 보존돼 있다.

동·서양 건축 자산, 대통령 집무실, 정부청사 및 각종 공공기관이 융합성을 갖고 있는 피란수도는 국제적으로도 매우 독특한 사례로 유일성을 인정받고 있다. 임시수도임에도 무려 1023일 동안 장기적으로 유지됐고, 도시 용량을 훨씬 초과해 100만명 이상의 난민을 수용한 것 또한 근현대사에서 보기 드문 사례다.

대표적 피란수도 시설로는 임시수도기념관, 정부청사(현 동아대박물관), 유엔기념공원, 영도다리, 보수동 책방골목, 미국영사관, 40계단, 국립중앙관상대 등 70여 곳에 달한다.

임시수도기념관은 1926년에 지어진 2층 목조 기와집으로 경남도지사 관사로 사용되다 6·25전쟁 당시 3년간 대통령 관저로 이용됐다. 1983년 경남도청이 창원시로 옮겨감에 따라 1984년 임시수도기념관으로 지정됐다. 기념관에는 임시수도 당시 이승만 대통령의 유품을 중심으로 하는 소장품 152점이 여섯 개 방에 전시돼 있다.

정부청사는 1948년 부산지방법원으로 개원했으나 임시수도 당시 정부 각 부처가 전시행정을 펼친 곳으로 2009년 동아대가 석당박물관으로 사용 중이다.

유엔기념공원은 1951년 유엔군사령부가 6·25전쟁 당시 한국에 파병됐던 전몰장병들의 유해를 안장하기 위해 조성한 유엔군 묘지다. 처음에는 16개국 1만1000위가 봉안됐으나 대부분 자국으로 송환되고 현재는 11개국 2300여 유해가 안장돼 있다.

영도다리는 1934년 준공된 국내 유일의 도개교로 피란민들의 애환이 서린 곳이다. 교통체증으로 다리 상판을 들어올리는 도개기능이 폐쇄됐다가 2013년 복원됐다.

시 관계자는 “피란수도 문화유산의 유네스코 등재는 분단된 조국의 아픈 역사를 기억하고 통일에 대한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으며 국제사회에 평화의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부산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