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통일 25주년, 광복 70주년을 계기로 한국과 독일 간 새로운 경제협력 관계를 찾는 것이 이번 방한의 목표입니다.”
25일 오전 서울 세종대로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만난 알브레흐트 게르버(49) 독일 브란덴부르크주 경제에너지부 장관은 “아시아 국가들 가운데 한국은 세 번째로 큰 독일의 교역 상대”라면서 “한국 기업과 독일 기업의 교류 확대뿐만 아니라 한국 기업이 유럽 시장에 진출할 때 브란덴부르크주가 허브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게르버 장관은 20여명으로 구성된 경제사절단과 함께 지난 21일 한국에 도착해 1주일가량 머문다.
중심에 수도 베를린이 위치해 수도권 역할을 하고 있는 브란덴부르크주는 재생에너지 개발 등의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우리나라 대기업도 진출해 있으며 주정부는 우리 기업에 대한 투자를 늘리는 추세다. 그는 “기후보호, 도시 배출가스 감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시, 수원시와도 논의할 예정”이라며 “브란덴부르크 연구소가 이 분야에 전문지식과 기술력을 갖고 있어 한국 연구진과 협력을 제안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파문이 일고 있는 독일 유명 자동차업체 폭스바겐의 배출가스 저감장치 조작 의혹에 대해서는 “의도적으로 소프트웨어를 수정한 것은 드러난 사실이고 그로 인한 실익보다 피해가 너무나 큰 상황”이라며 “문제가 빨리 마무리돼 폭스바겐이 독일과 해외 시장에서 명성을 회복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독일 검찰은 이날 폭스바겐의 탈세 정황이 드러나 수사에 착수했다.
게르버 장관은 난민 문제와 관련해선 “인구수가 줄고 있는 국가에서 난민을 받아들여 재교육하고 일자리를 제공할 경우 오히려 경제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독일은 유럽 최대의 난민 수용국으로 올해만 80만명가량이 유입될 전망이다. 독일은 16개 연방주가 주의 경제력과 인구수에 비례해 난민을 분산 수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는 “독일 정부뿐만 아니라 유럽 모든 국가들이 ‘난민’이라는 커다란 도전 과제에 직면해 있다”면서 “난민을 사회에 잘 정착시키는 장기적인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관건인데, 독일은 1960∼70년대 남유럽에서 유입된 많은 외국인 근로자들이 잘 정착한 긍정적인 사례가 있다”고 말했다. 또 “최근 파리 테러 사건으로 난민을 거부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난민 문제와 이슬람국가(IS) 문제는 분명히 구분해서 생각해야 한다”면서 “반이슬람 정서를 갖거나 난민을 거부하는 것은 자유민주주의 가치를 포기하는 것이고, 그것은 테러범들의 목적이 달성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독일 북부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프리츠 출신인 게르버 장관은 본대학에서 정치학을 공부하고 2009∼2014년 브란덴부르크 주지사 서기관을 역임했다. 지난해 11월부터 주 경제에너지부 장관으로 일하고 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
[인터뷰] 게르버 獨 브란덴부르크주 경제에너지부 장관 “독일·한국 경제협력 새 시대 열자”
입력 2015-11-25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