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서울역고가공원화 추진, 충분한 논의가 먼저

입력 2015-11-25 17:39
박원순 서울시장이 야심차게 추진하려는 서울역고가공원 사업을 둘러싼 논란과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다. 시민들의 휴식공간을 위해 필요하다는 찬성 논리나 교통대란 및 주변상권이 위축된다는 반대 주장 모두 일리가 있다. 이처럼 찬반양론이 팽팽히 맞서있는 가운데 국토교통부가 25일 경찰청과 협의하라는 단서를 달아 서울시가 낸 서울역 고가도로 변경 요청안을 승인함으로써 공원화 사업에 탄력이 붙게 됐다.

매일 5만대의 차량이 통행하는 서울역 고가는 1970년 건설돼 노후 정도가 심하다. 지난 2011년 정밀진단에서 콘크리트 상판 중심부 바닥의 60%가 손상된 것으로 드러나 안전등급 D등급을 받았고, 올해 말까지 철거될 예정이었다. 그런데 박 시장이 철거 대신 도심재생사업의 하나로 뉴욕 하이라인 파크를 본뜬 고가공원을 만들겠다고 발표한 이후 진영논리까지 개입되면서 이전투구식 정쟁으로 비화돼버렸다.

D등급인 서울역 고가는 보수·보강을 통해 사용기간을 얼마간 연장할 수는 있다. 그러나 그것에도 한계는 있다. 시민들의 안전을 위해 차량 통제는 불가피하다. 그렇다면 남은 문제는 철거냐, 공원화냐 둘 중 하나다. 어떤 경우든 차량 통행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교통난이 예상돼 고가를 철거해서는 안 된다는 논리는 성립하기 어렵다. 무엇보다 안전이 최우선이기 때문이다. 국토부가 서울시의 요청을 승인한 것도 ‘서울시의 노선변경에 문제없다’는 국토연구원의 검토결과를 그대로 수용했다는 의미다.

새누리당은 공원화에 소극적이다. 철거는 돼도 안전 및 예산 등의 문제로 공원은 안 된다는 것이다. 이면에는 ‘7017(1970년 만들어진 서울역 고가가 17개의 사람길로 다시 태어난다는 의미) 프로젝트’가 박 시장의 대선 도전을 염두에 둔 사업이라는 시선이 깔려 있다. 사업이 끝나는 연도가 대선이 있는 해여서 그런 오해를 할 만하다. 이 문제는 시민 행복권 차원에서 다뤄야지 정치공학적으로 접근해서는 안 된다.

박 시장도 밀어붙이려고만 해서는 더 큰 반발을 초래할 뿐이다. 반대 의견에 좀더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 그런 점에서 고가 차량통제 시점을 오는 29일 0시에서 다음달 13일 0시로 연기한 것은 바람직하다. 특히 남대문시장 상인과 중림동, 회현동 주민들의 반대가 심한 만큼 이들을 설득하는 게 먼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