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친화적인 수목장림 관련법 재정비 시급”… ‘수목장림 활성화 방안’ 학술 토론회

입력 2015-11-24 20:34
최삼규 국민일보 사장이 24일 국민일보와 산림청, 산림조합중앙회 공동주관으로 국회에서 열린 ‘수목장림 활성화 심포지엄’에 참석해 관계자들과 함께 박수를 치고 있다. 왼쪽부터 변우혁 고려대 교수, 얀 브로크만 프리드발트뢰네부르크연구소 소장, 최 사장, 신원섭 산림청장, 이이재 새누리당 의원, 남인순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구성찬 기자

수목장림 활성화 방안을 찾기 위한 학술 토론회가 24일 국회에서 열렸다. 참석자들은 수목장림에 대한 높은 선호도에 비해 실제 이용률은 저조한 현실을 지적하면서 공공 수목장림 확대, 사설 자연장지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장례 리베이트 개선 등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국민일보 최삼규 사장은 축사를 통해 “‘너는 흙이니 흙으로 돌아갈 것이다’라는 성경 말씀처럼 자연으로 온전히 돌아가고 아름다운 산림까지 물려줄 수 있는 장사법은 수목장뿐”이라고 했다. 이어 “하지만 관리 부재와 무분별한 수목장림 조성으로 자연 훼손, 높은 가격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며 “관련법 재정비와 운영 방안 개선 등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국민일보는 2005년 ‘이젠 수목장이다’라는 장기 기획보도를 통해 국내 장묘문화 개선과 관련법 제정에 불을 지폈다.

자연장(自然葬)은 화장한 유골의 골분을 수목, 화초, 잔디 등의 밑이나 주변에 묻어 장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방식으로 장사할 수 있는 구역을 자연장지(自然葬地)라고 한다. 2008년 ‘장사 등에 관한 법률’이 개정되면서 처음 개념이 도입됐다. 수목장림은 산림에 조성하는 자연장지다.

산림조합중앙회 녹색문화추모사업단에 따르면 자연장 선호도는 56%에 달하지만 실제 안치율은 12%에 불과하다고 한다. 자연장 조성과 운영 방식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주는 수치다. 중앙회 녹색문화추모사업단 권병석 계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현재 국공립 수목장림은 전국에 3곳뿐이고 2009년 이후엔 1곳도 신규로 조성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수목장림은 병해충, 산불, 산사태 등 자연재해에 취약해 산림 전반에 대한 전문성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한국장묘문화개혁범국민협의회 박태호 정책실장은 스위스 취리히의 시립묘지, 네덜란드의 자연묘지 등 외국 사례를 소개한 뒤 “자연장은 돌이킬 수 없는 대세”라고 했다. 그러면서 “수목에만 의탁하는 것을 지양하고 수목장림 속에 산골(화장한 유골을 뿌리는 것)하는 방식도 도입을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신원섭 산림청장은 “국립수목장림인 하늘숲 추모공원을 방문하는 유족들을 보면 추모원을 둘러보고 산책하면서 안식을 얻는다”며 “이는 장묘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라고 했다. 이날 토론회는 새누리당 이이재, 새정치민주연합 남인순 의원이 주최했고 국민일보와 산림청, 산림조합중앙회가 공동 주관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