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부산·광주 등 전국 곳곳에서 야구장 운영권 특혜 시비가 일고 있다. 돈이 부족한 지방자치단체들이 야구장 건설·수리비용 일부를 지원받는 대가로 프로야구단 소유 기업들에게 구장 운영권 등을 헐값에 넘겼다는 비판이 나오면서 운영 주체 간 갈등도 불거지고 있다.
24일 대구시의회에 따르면 대구에서는 내년 2월 개장 예정인 새 야구장 ‘삼성라이온즈파크’(수성구·15만1300여㎡·2만9000명 수용) 운영을 둘러싸고 특혜 논란이 일고 있다. 대구시가 야구장 건립비용 1600억원 중 675억원을 부담한 삼성에 25년 동안 야구장 무상사용권과 운영권 등을 주기로 협약을 맺었기 때문이다.
특히 야구장 개장 이후 25년 동안 삼성이 얻을 수익이 입장료 697억원, 광고료 1099억원, 임대수입 246억원, 주차장 운영수입 50억원, 명칭사용권 182억원, 프리미엄 좌석권 38억원 등 2312억원에 이른다는 조사결과가 나오면서 논란이 더욱 뜨거워지고 있다. 삼성에 과도하게 이득을 안겨준다는 비판과 함께 전면 재협상을 해야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임인환 대구시의원은 “삼성구단 등 대기업이 실리만 추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며 “다 같이 상생할 수 있도록 재협약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초 개장한 광주시 새 야구장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도 특혜 시비에 휩싸여 있다. 시민단체 ‘참여자치 21’은 최근 광주 새 야구장 운영 협상과 관련해 전면 재협상을 광주시에 촉구했다. 공사비 1000억여 원 중 300억원 정도를 투자한 기아구단에 25년 수익운영권을 주는 것은 불공정 협약이라는 것이다.
앞서 광주시와 기아구단은 야구장 건립을 추진하면서 특혜 논란을 의식해 개장 후 2년 뒤 손익 등을 따져 재협약한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내년 초 재협약을 앞두고 경기장 운영수익금 등을 평가할 손익평가위원회 인원, 구성시기 등을 놓고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부산시도 사직야구장 명칭 변경 때문에 시끄럽다.
부산시가 낡은 조명탑 교체 비용 20여억 원을 롯데구단이 부담하는 대가로 야구장 명칭을 15년 동안 ‘부산롯데스타디움’(가칭)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네이밍권’(명칭결정권)을 롯데구단에 주는 방안을 협의 중인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시민단체 등은 15년간 사용하는 이름값이 20억원이라는 건 말이 안 된다는 입장이다. 2006년 넥센타이어가 사직구장의 명칭 사용권을 확보하려고 연간 3억원씩 5년간 15억원을 제시한 데 비하면 턱없이 낮은 금액이라는 것이다.
정명희 부산시의원도 “2007년 부산시가 부산대 체육과학연구소에 의뢰해 야구장 명칭 사용료를 분석한 결과에도 최소 연간 5억원이었다”며 “현재는 입장료 인상 등을 고려하면 연간 15억원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롯데구단 측은 앞으로 구장 시설 개선 등에 80억원 정도를 더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특혜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다.
대구=최일영 기자, 전국종합
mc102@kmib.co.kr
돈 부족한 지자체들, 건설·수리비 일부 기업서 지원받는 대가로 야구장 운영권 헐값 이양 특혜 비난
입력 2015-11-24 2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