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재해 상황에서도 무인항공기(드론) 등으로 통신 서비스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KT는 강원도 평창 알펜시아 스키점프센터에서 재난안전통신망 시범사업 추진 방향을 발표하며 재난·재해 상황에 특화된 통신 서비스를 24일 공개했다. KT는 지난 20일 조달청으로부터 270억원 규모의 ‘2015년 재난안전통신망 구축 제1사업’을 수주했다. 재난안전통신망은 지방자치단체, 경찰, 소방, 군 등 재난 대응기관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전국 통신망이다. 기존 통신망이 작동하지 않더라도 전용 네트워크를 통해 중요한 정보를 안정적으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번에 KT가 공개한 ‘드론 LTE’는 기지국 핵심 장비를 드론에 탑재한 비행 기지국이다. 드론 LTE는 재난·재해 상황에서 사람과 차량 접근이 어려운 위험 지역이나 고립된 지역에 신속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특히 KT 측은 다수의 드론을 띄우는 방식을 적용해 넓은 지역 통신 커버리지를 확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배터리가 빨리 소모되는 드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일종의 충전 정거장인 ‘드론 스테이션’ 기술을 적용했다. 방전된 드론이 차례로 착륙해 급속 충전한 뒤 다시 이륙하는 방식이다. KT는 2018년까지 최대 비행시간 40분, 운동반경 20㎞, 탑재 중량 5㎏의 고성능 드론을 상용화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KT는 기존 LTE 기지국을 배낭 형태로 축소시킨 무게 9㎏의 이동형 기지국 ‘백팩 LTE’, 해상 지역에서도 이용 가능한 ‘위성 LTE’ 등도 선보였다. KT는 앞으로 약 7개월간 평창 지역에서 공공안전 LTE(PS-LTE) 기술을 시험할 예정이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
재난·재해 땐 드론 띄워 통신… KT ‘재난안전망’ 서비스 공개
입력 2015-11-24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