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신산업 시장 2030년 100조… 정부 ‘확산 전략’ 주요 내용

입력 2015-11-23 20:29

23일 정부가 발표한 ‘2030 에너지 신산업 확산전략’의 핵심은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새로운 에너지산업을 키우겠다는 것이다. 계기는 신기후체제(Post 2020) 출범이다. 전 세계 모든 국가에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부과하는 신기후체제는 다음달 초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공식 출범하게 된다. 정부는 기후 변화 대응을 새로운 성장 기회로 삼아 향후 5년간 총 19조원 규모의 기업 투자 등을 쏟아부어 2030년까지 100조원 규모의 시장을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정부가 주안점을 두고 있는 새로운 에너지 산업의 트렌드는 에너지 프로슈머, 분산형 청정에너지(저탄소 발전), 전기자동차, 친환경 공정(온실가스 감축) 등 4가지다.

에너지프로슈머는 소규모 신재생 에너지와 전기통신기술(ICT) 등을 통해 개인이나 작은 건물 등 어느 주체나 직접 전기를 생산해 사용하고, 남는 전력을 판매할 수도 있는 시스템이다. 정부는 2030년까지 에너지프로슈머 사업을 우리나라 전역으로 확산시켜 총 발전량의 12.8%를 대체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또 대학과 산업단지, 도서지역 등에 대해서는 자체 전력을 생산에 소비하는 ‘마이크로그리드사업’을 대폭 확대하는 한편 친환경 에너지 타운도 총 100곳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정양호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자원실장은 브리핑을 갖고 “2030년까지 총 40만 가구에 태양광 등 신재생 에너지 설비를 대여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기차 육성 사업은 보다 구체적이다. 일단 전기차 도입에 적극적인 제주도를 정책적으로 지원해 2030년까지 도내에서 운행하는 모든 차량(37만여대)을 전기차로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또 현재 2600여기에 불과한 충전 인프라를 2030년 7만5513기까지 확대해 전기차 이용 편의를 높이겠다고 밝혔다. 시내버스를 전기차로 교체하는 사업도 추진한다. 정부 계획대로라면 15년 후면 누구나 전기로 움직이는 시내버스를 타고 출퇴근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국내 석탄화력발전소의 고효율 발전시스템(USC)을 전체 40%까지 확대 적용하는 등 저탄소 발전 중심의 전력 산업 육성 계획도 나왔다. 생산된 전기를 저장장치(배터리 등)에 저장했다가 전력이 필요할 때 공급하여 전력 효율을 높이는 에너지저장장치(ESS·Energy Storage System)를 2030년까지 총 10GWh(약 5조원) 규모에 적용할 계획이다.

정부는 에너지신산업 확산을 위해 정부는 내년도 관련 예산안을 1조2890억원(정부안)으로 편성했다. 정부 집계에 따르면 기업에서도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 신산업 분야에 앞으로 5년간 19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 같은 전략이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관련 시장 규모가 100조원대로 커져 관련 일자리가 50만개 이상 창출될 것이라고 추산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