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김영삼(YS) 전 대통령의 국가장’을 위한 장례위원회 명단 구성을 위해 유족 측과 최종 조율 작업에 들어갔다. 정부 추천 인사 896명에 더해 유족 측이 원하는 위원들과 사회 각계 대표 등을 포함하는 대규모 장례위원회가 꾸려질 전망이다. 정부는 국가장 엄수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하고 부처별 준비 작업에 착수했다.
행정자치부 관계자는 23일 “장례위원회 명단을 확정하기 위해 유족 측과 마지막 조율 작업을 하고 있다”며 “김 전 대통령이 우리 역사의 거목인 만큼 유족 측과 심혈을 기울여 정리하고 있다”고 전했다. 행자부에는 국가장 실무추진단이 꾸려졌다.
유족 측에서는 김 전 대통령의 차남 현철씨와 상도동계 인사들이 나서서 장례위원회 구성 범위를 정부 측과 논의하고 있다. 정부 추천 인사 외에 유족들이 원하는 친지 등 장례위원과 고문단이 확정되면 최종 명단이 완성된다.
아직 확정되지 않은 부위원장 6명에는 정갑윤·이석현 국회부의장, 대법원 선임 대법관, 헌법재판소 수석 재판관, 감사원장, 경남지사 등이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고문단은 전직 대통령들을 비롯해 전·현직 3부 요인과 헌재소장, 중앙선거관리위원장, 민주평통 수석부의장, 주요 정당 대표 등이 물망에 오르고 있다. 유족들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 종교계 대표, 친지 대표 등도 포함시키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2009년 김대중(DJ) 전 대통령의 국장(國葬) 당시 장례위원회에는 모두 2371명의 위원이 참여했다. 부위원장은 당시 문희상·이윤성 국회부의장, 김용담 선임 대법관, 이공현 수석 헌법재판관, 김황식 감사원장, 박준영 전남도지사가 맡았다. 고문단에는 김영삼·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과 김종필 전 자민련 총재가 포진했다. 반 총장도 고문으로 이름을 올렸고 엄신형 한국기독교총연합회 대표회장 등 종교계 인물도 포함됐다. 같은 해 1383명으로 구성됐던 노무현 전 대통령의 국민장(國民葬) 장례위원회 고문단에도 전·현직 대통령과 반 총장 등 사회 저명 인사 59명이 위촉됐다.
이번 김 전 대통령의 국가장 역시 정부 3부 요인과 국내 주요 인사 등이 고문과 분야별 장례위원으로 대거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26일 국회의사당에서 열리는 영결식에 차질을 빚지 않도록 유족과의 협의가 끝나는 대로 조속히 장례위원회 명단을 확정할 방침이다.
정부는 관련 부처 회의를 열고 국가장 거행을 위한 부처별 지원 방안을 확정했다. 행자부는 장례 기본계획 수립과 영결식 주관 등 장례 업무를 총괄한다. 장례비용은 기획재정부가 예비비를 사용해 지원하며 외교부는 특사·외교사절 안내와 해외공관 분향소 설치를 담당한다. 국방부와 국가보훈처는 국립묘지 안장 전반을 주관한다. 경찰청은 경호·경비를, 각 자치단체는 분향소를 설치해 고인의 넋을 기릴 예정이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관련기사 보기]
[김영삼 前 대통령 서거] 장례 고문단에 유족 뜻따라 반기문·종교계 대표 포함 검토
입력 2015-11-23 2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