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프로축구단 사장으로부터 거액의 뒷돈을 받고 유리한 판정을 내린 혐의로 두 명의 전·현직 심판을 구속함에 따라 축구계에 거센 후폭풍이 불 조짐이다. 대한축구협회와 한국프로축구연맹은 2011년에 이어 다시 승부조작 파동이 일어나지 않을까 우려하며 검찰의 수사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19일 구속 기소된 심판 최모(39)씨와 이모(36)씨는 안종복(59) 전 경남 FC 사장에게 구단에 유리한 판정을 부탁받고 그 대가로 수천만 원을 받은 혐의(국민체육진흥법 위반)를 받고 있다. 검찰은 외국인 선수 계약금을 횡령한 혐의로 구속 기소된 안 전 사장을 조사하다가 심판들에게 돈을 건넨 정황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2013∼2014년 경남의 21경기 동영상을 확보해 고의적 오심 정황을 수사하고 있다. 특히 최씨 등이 돈을 받고 경남에 유리한 판정을 했거나, 경쟁 구단에 불리한 판정을 했는지를 집중 수사 중이다. 경남은 2013년 2부 리그 강등을 면했지만 2014년엔 2부 리그로 추락했다.
경남이 특정 경기에서 심판에게 유리한 판정을 부탁하려면 매수한 심판이 그 경기에 투입돼야 한다. 프로연맹은 이번 시즌부터 컴퓨터 자동배정시스템을 적용하고 있지만 2013년과 2014년 당시에는 심판위원장이 모든 경기의 심판을 배정했다. 승부조작 커넥션 쪽으로 수사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프로연맹은 20일 권오갑 총재 명의의 입장문을 통해 “검찰 수사에 대해 한 치의 의혹도 생기지 않도록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있다. 검찰 수사 결과 혐의가 확인되는 해당 심판과 해당 구단에 대해서는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연맹 상벌위원회를 열어 단호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축구협회 고위 관계자는 “그동안 구단과 심판의 유착을 놓고 여러 말이 돌았던 것은 사실이었지만 대부분 정확한 물증이 없어 흐지부지됐었다”며 “이번 사건은 축구계에서 방치됐던 가장 어두운 면이 곪아서 터져 나온 꼴이다. 구속된 심판들이 승부조작을 했다는 수사 결과가 나오면 또 한번 국내 축구계가 큰 충격에 빠질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김태현 기자 taehyun@kmib.co.kr
축구계 “승부조작 파문 또 일어나나” 술렁… 검찰, K리그 심판 2명 금품수수 혐의 구속
입력 2015-11-20 19:42 수정 2015-11-20 2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