짬뽕 같은 뜨끈한 국물요리에 없으면 섭섭한 홍합. 우리가 식당에서 홍합으로 알고 먹는 패류(貝類)는 모두 홍합이 맞을까? 사실 토종 홍합(참담치)이 아닌 외래종인 ‘지중해담치’일 가능성이 높다. 이미 지중해담치는 1950년대 경남 지역에 유입된 이후 토종 홍합의 서식지를 점령했다. 현재는 양식도 되고 있으니 식당에서 판매하는 홍합은 거의 지중해에서 온 담치라고 보면 된다. 얼큰한 해물찜에 많이 들어가는 미더덕도 외래종이다. 정식 이름은 ‘주름미더덕’으로 원래 미국에 살다가 한국 해안에 침입했다. 남해안과 서해안 갯바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따개비도 토종 ‘고랑따개비’가 아니라 외래종 ‘주걱따개비’다.
지중해담치, 주름미더덕 등 외래종 해양생물은 어떻게 지중해나 미국 연안에서 수천㎞ 떨어진 한국 바다로 오게 됐을까. 전문가들은 외래종 이동의 ‘주범’을 선박 평형수(Ballast water)로 보고 있다. 평형수는 선박이 화물을 하적한 뒤 부력 때문에 무게중심이 높아져 선박의 안정성이 낮아지는 것을 막기 위해 선박 아래에 채우는 바닷물을 말한다. 지난해 세월호 침몰 사고의 원인 중 하나로 기준에 모자란 평형수가 지목되기도 했다. 평형수는 선박이 바다에 잠기도록 해 프로펠러가 수면 위로 떠오르는 것을 막아 연료 효율을 높이는 역할도 한다.
전 세계를 운항하는 화물선 등은 화물의 양에 따라 평형수를 버리기도 하고 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선박이 A항구에서 화물을 하적하면 선박 무게가 가벼워져 전복 위험성이 높아진다. 이 때문에 배 밑에 있는 탱크에 평형수를 채워 넣는다. 이때 A항구에 사는 해양생물이 평형수에 섞여 탱크로 들어온다. 그리고 B항구로 이동해 화물을 선적하면 선박이 무거워져 평형수를 내보내는데, 이때 A항구에서 들어온 해양생물도 같이 배출된다. 국제해사기구(IMO)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매년 100억t 이상의 바닷물이 선박 평형수로 이동되고 7000종 이상의 해양생물이 평형수에 실려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해양생물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곧 죽지만 지중해담치처럼 생명력이 강한 생물은 살아남아 생태계를 교란하는 문제를 야기한다.
평형수로 이동하는 외래종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적도 있다. 1980년대 미국 오대호에 원래 유럽에서 살던 얼룩무늬담치가 출현하기 시작했다. 평형수를 타고 유럽에서 미국으로 이동한 것이다. 얼룩무늬담치는 미국에서 상수도시설, 산업시설, 발전소, 골프장 배수시설 등에 들러붙어 물의 흡입과 배출을 막았다. 또 토종 홍합을 몰아내면서 생태계를 교란했다. 미국 정부는 당시 얼룩무늬담치 제거, 파이프 교환에 따른 비용과 환경 피해, 관광객 감소로 인한 피해액이 50억 달러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원자재 수출국으로서 선박의 이동이 많은 호주에서도 1998년에는 검은줄무늬담치가 나타나 진주양식산업을 폐허로 만들 정도로 큰 피해를 입혔다.
세종=윤성민 기자 woody@kmib.co.kr
[선박 평형수의 딜레마] 해양생물 ‘밀항’… 생태계 ‘교란’
입력 2015-11-20 2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