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제약사에 신약기술 수출 계약을 잇달아 성사시킨 한미약품의 이관순(사진) 대표는 연구·개발(R&D)에 최선을 다하면서도 실패에 책임을 묻지 않는 사내문화를 성공비결로 꼽았다.
이 대표는 19일 서울 강남구 리츠칼튼호텔에서 열린 ‘한국제약산업 공동 콘퍼런스(KPAC) 2015’ 개막 기자 간담회에서 “(R&D는) 좋을 때보다 힘들 때가 많다”며 “연구원들의 상상력과 역량이 극대화하도록 지원은 많이 해주고, 실패한 과제에 대해서는 절대 책임을 묻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거듭 “최선을 다하되, 실패할 때 책임을 묻지 않는 회사의 문화가 R&D에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한미약품은 올해 다섯 차례에 걸쳐 사노피, 얀센, 베링거인겔하임 등 세계적인 제약사를 상대로 총 계약 규모 7조원이 넘는 대형 신약기술 수출 계약을 맺었다.
이날 KPAC 2015의 기조연설을 맡은 이 대표는 한미약품이 처음부터 글로벌 신약을 목표로 R&D에 투자했다는 사실도 공개했다. 그는 “(적자를 본) 2010년, 2011년쯤에는 한미약품에 정체기가 찾아왔지만 신약 개발을 1년 늦추면 가치가 절반으로 뚝 떨어진다는 신념으로 (오히려) R&D를 확대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앞으로 전 세계 의료시장의 절반 정도를 차지할 만큼 성장 잠재력이 큰 중국 시장을 한미약품의 타깃으로 삼고 있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현재 한미약품이 총 24개의 파이프라인(신약후보물질)을 개발하고 있다”며 “마치 파이프라인이 이제 다 팔려 더 팔 것이 없어 보이지만 앞으로도 계속 개발과 수출을 이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노용택 기자
“실패해도 책임 안 묻는 문화가 한미약품 성공 비결”… 이관순 대표 간담회
입력 2015-11-19 1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