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하 문화전당·사진)이 25일 공식 개관한다. 2005년 12월 첫 삽을 뜬지 10년 만이다.
총 7000억원의 예산이 투입돼 옛 전남도청 자리에 조성된 문화전당은 부지면적 13만4815㎡(연면적 16만1237㎡)로 아시아 최대의 문화예술 기관이다. 예술극장, 문화정보원, 문화창조원, 민주평화교류원, 어린이문화원 등 5개원이 들어섰다. 당초 지난 9월에 개관할 계획이었지만 콘텐츠 부족으로 인해 예술극장 등 일부 시설만 문을 열었다. 황교안 국무총리와 김종덕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중앙아시아 5개국 문화장관 등 700여명이 개관 행사에 참석할 예정이다.
방선규 문화전당장 직무대리는 19일 서울 광화문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세계를 향한 아시아 문화의 창으로 문화전당을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문화전당은 아시아 문화를 세계에 널리 알리는 국제 문화교류의 플랫폼으로서 국가 브랜드 제고에 기여하겠다는 미션을 내걸었다. 이를 위해 레지던시 프로그램 등을 통해 아시아 문화예술인들의 창작과 교류의 장을 제공하는 한편 해외 문화예술기관과의 협력을 거쳐 아시아 문화예술의 플랫폼 역할을 수행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아시아 문화 연구를 기반으로 한 저널·포럼·출판 등 다양한 형태의 지식을 생산하고, 다층적 연구의 장을 제공하며, 국제적 수준의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키로 했다. 문화전당이 아시아를 대표하는 관광 명소로서 국내 관광 산업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그동안 문화전당은 아시아 전통 오케스트라와 아시아 무용단 창단, 아시아 스토리텔링 사업, 유네스코 기록유산 아시아·태평양위원회 사무국 유치 등을 진행해 왔다. 향후 아시아 권역별 문화장관 회의를 확대·정례화하고, 내년 6월에는 제7회 아셈(ASEM) 문화장관 회의를 문화전당에서 개최할 방침이다.
비록 문화전당이 공식 개관을 계기로 콘텐츠를 안정적으로 제작·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밝히고 있지만, 여전히 콘텐츠 확보는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특히 문화전당의 재정적 자립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많다. 정치권에서는 운영주체를 국립으로 할지, 민간법인으로 할지를 놓고 의견이 갈렸었다. 우여곡절 끝에 아시아문화중심도시특별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해 운영주체를 국가기관(국립)으로 명시했다. 그러나 5년간 국가기관이 운영한 후 법인화 여부를 결정키로 한 것이어서 문화전당의 운영주체와 관련한 논란은 다시 벌어질 가능성이 크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
곡절 끝 문여는 亞문화전당, 날개 펼칠까… 착공 10년 만에 오는 25일 개관
입력 2015-11-19 20:41